[디베이트 알아보기] 자료수집 능력의 중요성
솔로몬 오 (SoCal Debate Forum Director )
오늘은 먼저 첫 번째 포인트에 관하여 알아 보겠습니다. 주어진 케이스를 준비하기 위하여 팀은 다음 세 가지의 내용들을 준비하여야 합니다.
첫째로 주제 중 어떤 말이 이 디베이트가 이루어지게 하는 핵심 문구인가를 결정해야 합니다. 우리는 이것을 'Definition'이라고 말합니다.
둘째로 주제에 대하여 우리의 주장이 옳다고 설득할 수 있는 몇 가지 이유들을 찾아야 합니다. 이것들을 우리는 'Arguments'라고 말합니다. 그래서 우리의 주장들을 일목요연하게 하나로 묶어주어야 합니다(Single Case Approach).
그런 후에 셋째로 팀 간에 역할들을 정하고 맡은 역할에 따라 무엇을 어떻게 발표할 것인가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이 프로세스를 'Split'이라고 말합니다. 위의 내용들을 준비하는 과정이 'Preparation Process'입니다.
이의 첫 번째 과정은 주어진 주제 중 어떤 내용이 이슈가 되는 가를 논의하고 그 이슈를 정의할 수 있는 주제어가 무엇인가를 정하는 것 입니다.
두 번째 과정은 'Case Approach'를 위하여 조사하고 최선의 방법을 찾아내는 것 입니다. 세 번째 과정은 Arguments들을 개발하여 내는 과정 입니다. 네 번째 과정은 만들어 낸 Arguments들을 Split을 통하여 역할을 분담하는 과정 입니다.
일단 역할이 분담되면 디베이터들은 자신이 맡은 부분의 스피치를 준비하여야 합니다. 이것이 마지막 준비 과정입니다. 그러면 각 준비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첫 단계: The Issue and Definition
이 과정의 첫 번째 원칙은 주어진 주제에 분명한 이슈가 발견되면 그 이슈를 가지고 논쟁을 벌이라는 것 입니다. 그러나 때때로 주제 내에서 분명한 이슈가 찾아지지 않을 때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때 두 번째 원칙은 여러 논점 중 가장 연관이 많거나 가장 논쟁을 벌이기 좋은 논점을 이슈로 삼는 것 입니다. 예를 들면 "The Carrot is better than the stick". 이라는 주제가 주어지면 이는 은유적인 표현으로 문자 그대로 이슈화 하기 보다는 "Incentive (the carrot) is more effective than the threat of punishment (the stick)". 으로 해석하여 논점을 전개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때로는 주제에서 관련된 논점을 찾아 내기가 매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는 세 번째 원칙인 주제를 적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논점 중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일반적인 경우의 논제를 가지고 이슈로 삼는 것이 좋습니다.
잘못하면 상대팀과 전혀 다른 논제를 가지고 디베이트를 할 경우가 생기기 때문 입니다. 그러나 이 원칙은 항상 가장 일반적인 논점을 이슈화 하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즉 불분명한 주제를 가지고 디베이트를 할 때는 아무리 이슈를 찾아내기 어렵다 하여도 반드시 한 가지 이슈만을 가지고 디베이트를 하여야 합니다.
여러 가지 이슈들을 산만하게 연결 시키는 것 보다는 한 가지 이슈에 집중하는 것이 훨씬 좋은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일단 이슈를 찾아내면 다음에는 이 이슈의 정확하고 분명한 의미(Definition)를 찾아내야 합니다.
The Definition
주제의 정확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디베이트를 한다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그래서 양팀은 디베이트를 하고자 하는 타픽의 의미를 결정하여야 합니다. 바로 이것이 Definition입니다.
일반적으로 어퍼머티브 팀의 첫 번째 스피커가 이 타픽의 Definition을 명확하게 정의하여 발표하여야 합니다. 때로는 네거티브 팀이 그 정의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네거티브 팀은 어퍼머티브 팀의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분명하게 밝히고 자신의 새로운 Definition을 제시하여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양 팀 다 Definition을 준비하여 와야 합니다.
타픽을 정의하는 데에는 몇 가지 스킬이 있습니다. 첫째로 타픽의 개별적 의미를 모두 정의하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이 보다는 전체적인 의미에서 정의하는 것이 각각의 단어에서 의미하는 여러 가지 해석들로 인한 혼돈을 피할 수 있습니다.
둘째로 너무 복잡하게 정의하지 말아야 하며 단순한 사전적 정의는 피하여야 합니다. 셋째로 자신의 정의를 설명해줄 수 있는 Example들을 준비 하여야 합니다.
▷문의 SoCal Debate Forum (1-877-6Debate: 1-877-633-2283)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