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한인 2세 교육감 미셸 리 교육개혁안 화제 '성적떨어지면 학교 없애고 교사 퇴출'

우수 학교엔 자율권 주고 교사에도 보너스…교원 자질 강화

여기엔 “학교와 교사, 학부모가 노력하면 학생의 성적뿐 아니라 학교생활도 달라진다”는 그의 교육철학을 실행하려는 구체적인 방안이 담겨 있다.

그는 '워싱턴 공립학교를 위한 5개년 행동 계획'이란 제목의 79쪽짜리 보고서에서 "앞으로 학생 성적 학교 환경 학부모와 지역 공동체의 참여 정도 등을 바탕으로 학교 점수 카드를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학업 성적이 좋은 학교에 대해선 학사운영 자율성을 부여하겠지만 나쁜 학교에 대해선 변화와 개혁을 요구하는 강도 높은 압박을 가하고 그래도 나쁘면 폐쇄할 방침"이라고 선언했다.

리 교육감은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교사를 평가하겠다"며 "업적이 뛰어난 교장은 1만 달러 교사는 8000달러까지 보너스를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학생 교육을 제대로 하려면 학교가 학부모와 소통해야 한다"며 "학부모 아카데미를 만들어 그들의 견해와 자녀 교육 방법을 학교 교육에 활용하는 시스템을 갖추겠다"고 다짐했다. 그의 계획은 공교육 추락으로 고민하는 한국에서도 본받을 점이 많다. 다음은 요지.

◇학교
▷ 실태


-워싱턴 공립학교. 4~8학년의 수학과 읽기 성적은 전국 도시지역에서 최악이다. 고교 9학년에 등록한 학생이 5년 만에 졸업하는 비율은 43%에 불과하다.

-공립학교 등록 학생은 갈수록 줄고 있다. 2007년 공립학교에 등록한 학생은 2002년보다 1만3000명 감소했다.

같은 기간 자립형 공립학교(public charter schools.행정기관의 규제를 받지 않고 자립적으로 운영되는 학교)에 등록한 학생은 9000명 늘었다. 공립학교 교육이 부실하기 때문이다.

▷ 행동계획

-학생 등록률이 심각하게 저조한 학교는 폐쇄한다.

-학교를 질적.양적으로 평가한다. 우수한 평가를 받은 학교는 재량껏 교과과정 혁신과 교사 채용 급여 책정을 할 수 있다.

-초등학교에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겠다. 모든 교사는 엄격한 훈련을 받아야 한다. 전공분야뿐 아니라 몬테소리 교육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 등 교육학적 테마 프로그램도 학습해야 한다.

-중학교에선 수업 연장 또는 토요 학교 교내 과외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고교 진학을 돕는 일에 주력한다. 고교에선 9학년 아카데미 토요 학교 여름 학교 교내 과외 등을 통해 학생들의 학업 성취를 돕고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새로운 교과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미술 학교 몬테소리 교육학교 등 특성 테마 학교와 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학생.학부모가 참여하는 지역공동체 회의를 열어 이들 프로그램에 대한 수요를 측정한다.

-학생이 교내에서 지켜야 할 규칙을 점검한다. 교장이 교사.학부모.학생의 의견을 참고해 학교별 상황에 맞는 규칙을 만든다. 교사는 교장의 승인을 받아 학급에서 학생이 지켜야 할 규칙을 추가로 만들 수 있다.

-성적이 나쁘고 태만한 학생들을 돕기 위해 학교 행정직원 상담교사 일반 교육자 학부모 등으로 구성된 '학생지원팀'을 가동한다.

◇교직원
▷실태


-현재의 교장 평가 시스템은 학생의 성취 여부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의미가 없다. 몇 년간 워싱턴 공립학교 교장의 절반이 바뀌었지만 유능한 교장이 더 필요하다.

-워싱턴엔 4000여 명의 교사가 있다. 2006~2007년 학업연도의 경우 191개 학교 중 42개만이 읽기와 수학에서 적정한 수준의 진전을 이뤘다. 그런데도 교사들은 멀쩡하다. 형편없는 학업 성취도의 책임을 지고 물러난 교사는 1명뿐이다.

▷행동계획

-전문성 강화 훈련을 받고서도 성과를 내지 못하는 교사는 퇴출한다. 교장에겐 유능한 교사가 될 가능성이 작은 임시교사를 골라내라는 지시가 내려갈 것이다.

-우수한 교사를 채용하기 위해 '신 교사 프로젝트(the New Teacher Project)' 같은 단체와 협력할 것이다. 채용 방식도 바꿀 것이다.

-교원노조와 협력해 보상 시스템을 개선할 것이다. 현재의 평가 체계는 학생의 학업 성취도를 기준으로 삼고 있지 않아 교사의 질적 차이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다. 우린 교사의 책임성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만들 것이다.

교사가 훌륭한 성과를 내면 그만큼 좋은 보상이 주어지고 그러지 못하면 보상이 작아지는 성과급 제도(pay-for-performance)를 만든다.

◇학부모
▷실태와 행동계획


-학교가 학부모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학교에 대한 불신이 생겼다. 학부모는 자녀가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는지 잘 모른다.

-학부모와 소통하고 그들의 의견을 학교 운영에 반영하는 책임을 교장과 교사에게 지울 것이다. 그러기 위해 학부모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축적할 것이다. 또 학교 운영에 관심이 많고 학부모 입장을 전달하는 학부모 코디네이터도 양성할 방침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