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잠망경] 성난 얼굴로 뒤돌아 보라

서량

시인.정신과전문의





영국의 존 오스본(John Osborn)이 1956년에 발표한 '성난 얼굴로 뒤돌아 보라(Look Back in Anger)'라는 희곡을 혹시 기억하세요. 중산층 부부간의 갈등을 여실히 드러내면서 불만이 가득한 시대상을 그린 희곡이다. 예나 지금이나 글쟁이들은 시대를 앞서간다. 대체로 첨단적인 사상은 유럽에서 발생한다.

마침 또 때를 맞춰 미국에서는 이듬해인 1957년 잭 케루액 (Jack Kerouac)이 'On the road(노상에서)'라는 소설을 씀으로써 명실공히 당시의 '비트 제너레이션(Beat generation)'이란 개념이 태어났다. 50년대 후반부터 60년대 초반은 비트제너레이션의 시대였다. 'Angry young men'이라는 유행어가 생긴 것도 그 무렵이었다.

'에덴의 동쪽' '자이언트' '이유없는 반항'에 나왔던 극심한 혼돈과 우울한 반항끼로 얼굴을 도배한 제임스 딘(James Dean)이 당대에 기여한 풍조는 기성세대에 대한 반항과 무기력으로 고통받는 젊음의 초상화였다. 그래서 당시 우상이던 그는 비트 제너레이션 답게 오토바이를 폭주하다가 죽었다. 머리에 꽃을 꽂고 다니던 히피족들이 출현하기 직전 시기의 미국은 그렇게 암울했다.

'beat generation'의 'beat'는 많이 두둘겨 맞은 결과로 심신이 괴롭고 피곤하고 노곤함을 의미한다. 우리말 슬랭으로 더위 먹은 닭처럼 '빌빌댄다'는 뜻이다.

영어에 '~ngry'라고 끝나는 단어는 아주 극심한 예외를 염두에 두지 않고는 사실 두 개 밖에 없다. 하나는 'angry' 그리고 또 하나는 'hungry'. 둘 다 그 뜻이 아주 고약하다. 골이 나고 배고프고 한 것보다 처절한 인간조건이 어디 또 있겠는가. 비트족 들은 성을 내면서 허기와 대적했다.

1360년 경에 'anger(분노)'는 'anxiety(두려움)'와 'anguish(고민)'이라는 뜻이었다. 'anger anxiety anguish'에서처럼 '앙~' 하는 것도 사실은 우리말에서도 '앙앙 울다'라는 말의 '앙'이면서 '앙심을 품다'에서는 참 고약한 마음을 뜻한다. 그래서 동서양을 막론하고 '앙(앵)'이 들어가는 말은 별로 좋은 뜻이 될 수 없다.

독일인 들이라 해서 예외는 아니다. 'angst' 라는 독일어는 19세기 중반 무렵 '공포; 두려움; 죄의식; 후회'라는 뜻이었다. 이 말은 이제 영어로도 쓰인다.

'ang'이라는 어두(語頭)는 고대영어에서 '좁다'는 의미였다. 길이 좁으면 통행이 불편하지 않겠는가. 자고로 사람들은 서로의 스페이스를 넉넉하게 영위할 때 마음이 편안해지기 마련이다. 심리적으로 불안하면 숨이 고르지 못하고 기도(氣道)가 답답할 때 목에서 나오는 소리가 양키건 우리건 '앙(앵)'에 해당한다. 우리말의 '앵돌아진다'는 표현도 골이 났다는 뜻이다.

분노가 지나치면 'wrath'라 하는데 문학에 관심이 있는 이들은 노벨 문학상을 받은 존 스타인벡(John Steinbeck)의 '분노의 포도(The Grapes of Wrath)'를 기억한다. 고대 독일어에서는 'wrath'는 'strength'와 일맥상통하는 뜻으로 쓰였다. 분노를 하면 힘이 생기는 법이다.

이쯤 해서 당신에게 좀 엉뚱한 소리를 해야겠다. 17 세기에 희랍어로 'orge'는 '분노'라는 의미였다. 'orge'와 말 뿌리가 같은 불어의 'orgasme'과 희랍어의 'orgasmos' 에서 1684년에 'orgasm'이라는 단어가 영어로 탄생한 것이다. 당신 생각은 어떤가. 분노에서 힘이 생기고 성적 클라이맥스를 야기 시키는 인간의 동물학적 관찰이 좀 재미 있지 않은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