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날짜표기 헷갈리네...'Used by' 'Sell by' 'Pack'
연방정부서 법으로 규제 안해
식품은 제조업체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유효기간을 표기하기 때문에 이를 잘 이해하고 신선한 제품을 골라 소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식품에 이처럼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날짜가 표시되는 것은 연방정부가 가금류와 분유, 그리고 일부 이유식을 제외하고 식품에 생산일자를 표기하는 것을 법으로 규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20여개 주정부가 자체적으로 나서 일부 식품에 대해 생산, 제조 일자를 표기할 것을 권고하고 있지만 표기 방식은 생산자 마음대로다. 따라서 식품의 상태와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식품에 포장된 날짜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소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이처럼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날짜가 표시되는 것은 연방정부가 가금류와 분유 그리고 일부 이유식을 제외하고 식품에 생산일자를 표기하는 것을 법으로 규제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식품의 상태와 안전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소비자가 식품에 포장된 날짜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소비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표기 방식에 따른 식품의 유효 기간을 알아 본다.
▷"Use by" / "best if used by" / "quality assurance"
씨리얼 제품에서 흔하게 보이는 이러한 표기는 명시된 날짜까지 내용물의 향과 품질이 최고의 상태로 유지됨을 뜻한다. 표기된 날짜가 다소 지났다고 해도 내용물이 변질됐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Sell by" / "pull"
소매 업체가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최종 날짜를 의미한다. 소비자는 표기된 날짜 이전에 물건을 구입해야 하지만 반드시 그날까지 소비할 필요는 없다. 식품을 구입한 후 집에서 보관하고 최종적으로 소비하는 기간까지를 고려해 표기 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유제품의 경우 sell-by 일자에서 7일 정도는 두고 먹을 수 있다.
▷"pack" / "package date"
신선한 상태의 음식이 포장됐거나 가공 처리된 날짜를 가르킨다. 보통 육류 제품에 많이 표기된다.
소비자들은 포장 혹은 가공 날짜를 보고 좀 더 신선한 제품을 고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표기가 식품의 안정성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Expiration"
말 그대로 최종적으로 섭취하거나 소비해야 하는 날짜를 의미한다. 연방정부의 규제에 따라 분류된 계란 제품의 경우 보통 포장된 날짜 이후 30일까지를 유효기간으로 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표기된 날짜에서 3~5주를 경과해도 섭취하는데는 무리가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born on"
맥주회사 앤하우저 부시가 자사 제품에 표기하는 방식으로 생산일짜를 나타낸다. 소비자에게 신선한 맥주임을 알리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앤하우저 부시사는 born-on 날짜로부터 110일 이내에 섭취할 경우 맥주의 맛과 향이 가장 좋다고 설명한다.
▷coded date
식품 제조업체가 자사 제품의 생산지와 가공지를 분류 추적하기 위해 만든 일련의 암호로 알파벳과 숫자로 표기된다. 이러한 코드는 식품의 유효 기간과는 상관이 없다.
▷통조림 냉동식품
일반적으로 토마토와 같은 산성식품 통조림의 경우 12~18달까지 보관이 가능하다.
고기와 생선 야채류 통조림은 2~5년까지 보관 사용이 가능하지만 사용전에 포장용기가 돌출되지 않았는지 살펴야 한다. 냉동 식품의 경우 신선한 상태에서 적절하게 가공된 경우 유효기간이 지나도 섭취가 가능하다. 그러나 장기간 냉동보관 될 경우 향과 맛이 떨어질수 있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