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한국 노인이 프린스턴 학생에 '화상 한국어 교육'

'SAY' 프로그램
노후가 재미있고 보람

37년간 중학교 교사로 일하다가 7년 전 퇴직한 양은용(79)씨. 그는 매주 한 번씩 서울시립 용산노인종합복지관을 찾는 것이 큰 즐거움이다.

복지관에 오자마자 양씨는 익숙한 손길로 컴퓨터에 있는 화상통화 프로그램에 접속한다. 그러자 컴퓨터 화면에서 젊은 대학생이 다소 서툰 한국말로 반갑게 인사한다. 화면 속 청년은 태평양 건너편 뉴저지주에 있는 프린스턴대 4학년인 프랭크 우씨다. 이들은 한국어로 화상통화를 하며 이야기 꽃을 피웠다.

양씨는 우씨의 한국어 강사다. 이들을 이어준 것은 일주일에 30분씩 한국의 노인과 미국의 대학생이 일대일로 한국어로 대화하는 수업, 'SAY(Seniors and Youth)' 프로그램이다. SAY를 통해 최고 명문으로 꼽히는 프린스턴대 학생들이 한국의 노인들과 화상통화를 하며 한국어를 배우는 것이다.

이 프로그램을 만든 것은 프린스턴대를 휴학하고 현재 한국의 한 복지관에서 공익근무요원으로 근무 중인 조용민(24)씨다.

조씨는 19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캠퍼스에서 한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생은 날로 늘고 있다. 또 은퇴 후 노인들은 여전히 의미 있는 일을 하고픈 꿈이 있다"며 "남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라는 노인들의 소망과 한국어를 배우고 싶어하는 학생들의 바람이 SAY의 탄생을 이끌었다"고 밝혔다.

조씨는 프린스턴대 동아시아 강의를 맡고 있는 서주원 교수와 함께 지난해 가을학기부터 화상통화를 이용한 한국어 회화 강의를 시작했다. 첫 학기 6명의 학생이 등록했으며, 지난 2월부터 시작한 봄학기에는 8명으로 늘었다. 한인과 백인 등 다양한 인종의 학생들이 한국어를 배우고 싶다는 마음으로 노인들과 짝이 돼 한국어 회화 수업에 열심이다.

한인 어머니와 중국인 아버지를 둔 프랭크 우씨는 "대학 입학 때는 한국어를 전혀 몰랐다"며 "대화를 통해서 한국어를 배우는 것은 물론, 할머니의 삶을 알게 된다. 이를 통해 부모 세대에 대한 공감이 커졌다"고 밝혔다.

가르치는 노인들의 보람은 이루 말할 수 없다. 은행원·교사·대학강사·엔지니어 등 다양한 삶을 살아온 이들은 "은퇴 후에 영어공부도 하고 합창도 했는데 다 나를 위한 것이었다. 남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있을까 생각했는데 이런 기회가 왔다"고 말했다.

권화차(79)씨는 "여든을 바라보는 내가 아직도 후세들을 위해 무엇인가를 할 수 있다는 걸 느낀다"고 말하며 환히 웃었다.

이제 걸음마 단계이지만 SAY에 대해 다른 대학에서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미국에 사는 한인 노인들의 참여도 긍정적으로 바라봤다. 그는 "SAY의 배경에는 고령화사회에서 살고 있는 노인들의 사회 참여 목적이 있다. 미국에 사는 노인들이 학생들에게 한국어를 가르칠 수 있다면 너무나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서한서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