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약한 감기에 걸렸다면 가벼운 운동하는 게 도움

이럴 때 운동을 해야하나

컨디션이 떨어지면서 감기가 온 것 같다. 항상 빠지지 않던 운동을 그대로 감행해도 지장이 없을까. 요즘 감기철이 되면서 이같은 고민을 하게 된다. 다음의 가이드로 자신의 몸의 증세에 따른 운동 가능성을 첵업해 보자. 경우에 따라서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운동함으로써 오히려 건강 이득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기침을 한다

이럴 때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기침을 시작한 지 오래되었고 더군다나 기침약을 복용했는데도 그치지 않은 경우는 제외된다. 약간의 감기 기운과 함께 기침을 시작했다면 심하지 않은 정도의 심폐운동이나 아령을 들어 올리는 것처럼 몸을 심하게 움직이지 않으면서 하는 운동은 하는 것이 오히려 좋다.

이 때의 기준은 운동을 함으로써 호흡을 거칠게 몰아쉬느냐 아니냐에 둔다. 기침 역시 호흡기와 관련되기 때문에 달리기를 심하게 하는 심폐운동일 경우에는 무리가 오기 때문이다. 그러나 약간의 속보나 정지된 상태에서 아령을 들어 올리는 근육운동 정도는 오히려 기침을 이겨내는데 도움이 된다.

# 콧물이 나거나 코가 막혔다.

역시 운동을 계속해도 된다. 단 가볍거나 과하지 않는 정도(light to moderate)여야 한다. 전문가들이 콧물이 흐르거나 반대로 막혔을 때 가장 좋은 운동으로 권하는 것이 요가이다. 이 때 웃몸을 아래로 늘어 뜨리거나 완전히 거꾸로 물구나무서기 등의 동작만은 피한다. 코을 더 막히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웃몸을 그대로 ‘업’ 시킨 자세의 숨고르기와 함께 하는 요가는 도움된다.

# 소화장애가 있어서 토하거나 설사, 메스꺼움을 느낀다.

운동하지 않는 것이 좋다. 걷기도 되도록 피할 것을 권한다. 웃몸을 반드시 하여 앉은 자세에서 온몸을 쉬는 것이 가장 좋다. 그리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한다. 몸을 쉬면서 되도록 움직여 주지 않아야 속의 소화기관들이 빨리 안정을 취하는데 도움이 된다. 토하거나 설사를 할 때 몸을 이리저리 움직이면 증세가 더 심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속도 더 울렁거리면서 메스껍다.

# 열이 있다

정상 체온보다 높을 때는 운동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리고 가능하면 침대에 눕는다. 이 때 충분한 수분 섭취가 따라 줘야 한다. 열이 날 때 물을 많이 마시라는 이유이기도 하다. 열이 있는 상태에서 운동을 하면 체온 상승이 더 되고 체온은 정상보다 높을수록 위험하게 된다. 체온은 항상 정상인 상태여야 하기 때문이다.

# 두통이 있다.

욱신 쑤실 정도로 심한 두통이 아닌 경우에는 운동을 해도 좋다. 역시 심한 운동은 하지 않는다. 가볍게 걷기가 가장 좋다. 머리 쪽을 몸 아래로 내려 뜨리는 동작의 운동은 피를 과중하게 머리로 보내기 때문에 피해야 한다. 그러나 걷기 정도는 오히려 혈액순환을 돕기 때문에 두통을 덜 느끼게 해준다.

# 온몸이 쑤시고 아프다

몸의 어떤 특정 부위가 아닌 몸 전체 근육이 불편하게 욱신거릴 때가 있다. 이럴 때는 운동을 하면 도움된다. 만일 몸이 쑤시면서 약간의 열이 있다고 할 때에는 앞의 두통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히려 온몸을 적당히 움직여 줌으로써 아픔을 느끼는 근육의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통증을 감소시켜 준다. 이외에 온몸 스트레칭이나 수영도 온몸이 뻗뻗하고 쑤실 때 권하는 운동이다.

김인순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