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산 옆까지 아파트 빽빽…‘도시형 산불’ 공포 커진다

지난 28일 오후 대구시 북구 노곡동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확산하며 인근 구암동 아파트 단지까지 위협하고 있다. [뉴시스]
“바람 부는 소리가 들릴 때마다 집이 불에 탈까 근심했어요.”

29일 대구시 북구 팔달동의 임시 대피소에서 만난 김재정(71·조야동)씨는 “밤새 잠을 설쳤다”며 이렇게 말했다. 전날 오후 대구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은 초속 15m의 강풍을 타고 조야동·노곡동·서변동 근처로 확산했다. 민가가 몰린 곳까지 불길이 번진 탓에 대피 안내를 받은 주민이 6500여 명에 달했다. 김씨도 공무원의 안내를 따라 몸만 급히 빠져나왔다.

대구 도심을 위협하는 대형 산불은 1989년 4월 팔공산 산불 이후 36년 만이다. 주택, LPG충전소 등에 불이 번지는 걸 막기 위해 통상 야간엔 하지 않는 헬기 진화를 이어가고, 열화상드론을 동원해 ‘방어선’을 지켰다. 밤새 불길은 잦아들었고, 발화 23시간 만인 이날 오후 1시 당국은 주불 진화를 선언했다. 인명 피해는 없었고, 축구장 364개 크기 산림(260㏊)이 피해를 보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같은 ‘도시형 산불’의 위험은 전국적으로 커지고 있다. 산림청은 올 초 보고서에서 “최근 도심지 산불이 빈발하고 있다”며 서울·인천·부산·대전·대구 등 대도시를 우려 지역으로 꼽았다. ‘숲세권’ ‘숲복지’가 인기를 얻으며 산림 인접지가 개발되는 가운데, 기후변화로 인한 고온·건조 현상이 대형 산불의 발생 가능성을 키우고 있다.

실제로 산불이 도시로 번지거나 건축물 화재가 산림으로 옮겨붙는 사례도 늘고 있다. 2013년 3월 포항에선 산불이 초속 15m의 바람을 타고 시내 4개 동을 휩쓸어 1명이 숨지고 26명이 다쳤다. 2023년 강원도 강릉시 난곡동에서 발생한 산불은 주택을 비롯한 건물 406동을 파손시켰다. 산림청에 따르면 건축 화재가 산불로 번지는 경우가 1990년대 연평균 1.1건에서 2020년대 36건으로 증가했다. 산업체가 많은 수도권이나 경남에선 공장 화재가 산불로 번지는 일이 잦다.

이지수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도심 화재는 산불과 진화 방법이 달라 함께 발생할 경우 진화의 난도가 매우 높다”고 했다. 가연성·인화성 소재를 다루는 공장에 화재가 나고, 인근에 산불이 번진다면 전문 약제·장비를 갖춘 소방차, 유독가스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산림청 헬기와 산불진화대원이 싸우는 산불과는 대응법이 다르다. 미국은 이를 ‘산림·도시 복합 화재(WUI fire)’라고 부르는데, 국내엔 도시형 산불 대비 체계가 없다. 산불은 산림청, 일반 화재는 소방청이 맡는 식이라 종종 혼선을 겪는다.

전문가들은 도시형 산불에 대한 대비를 주문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습기가 많은 굴참나무 등으로 방화수림대를 조성하고, 지붕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해 산불이 건물로 번지지 않게 해야 한다”고 했다. 채진 목원대 소방안전학부 교수는 “산림 인접 주민에 대한 대피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함지산 산불의 최초 목격자인 권모(63·노곡동)씨는 중앙일보에 “밭일을 하던 중 멀리서 연기가 피어오르는 걸 봤다. 휴대전화가 없어 근처에 있던 주민에게 신고하라고 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당국은 자연발화보다 실화나 방화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정은혜.김성진.박종서.김정석.백경서([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