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LS전선 “매년 30% 클 시장”…미국에 최대 해저케이블 공장



버지니아주에 1조 승부수

28일 체서피크시에서 열린 LS그린링크의 해저케이블 제조 공장 착공식 도중 참석자들이 착공기념 첫삽을 뜨고 있다. 김형구 특파원
LS전선이 미국에 1조 원을 투자해 미국 내 최대 규모의 해저케이블 제조 공장을 짓는다. LS전선의 미국 자회사 LS그린링크는 28일(현지시간) 미 버지니아주 체서피크시에서 해저케이블 제조 공장 착공식을 열었다. 총 6억8100만 달러(약 1조 원) 규모 투자로,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국 기업이 미국에 대규모 공장 건설에 들어간 첫 사례다.

공장은 버지니아주 엘리자베스강 유역 39만6700㎡(약 12만 평) 부지에 연면적 7만㎡(약 2만 평) 규모로 지어진다. 오는 2027년 3분기 준공 예정이며, 2028년 1분기 양산을 목표로 한다. 330여 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생산 설비에는 201m 높이의 전력 케이블 생산타워(VCV 타워)와 전용 항만 시설 등이 포함된다. 해저케이블은 해상풍력 발전단지에서 만들어낸 전기를 육지로 보내기 위해 사용되는 바닷속 전선이다.

LS전선은 미국 해저케이블 시장이 향후 10년간 연평균 3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선제적으로 투자·진출한다는 전략이다. 버지니아주 공장은 고압직류(HVDC) 해저케이블의 생산부터 운송, 공급까지 원스톱으로 처리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갖출 전망이다. 구본규 LS전선 대표는 “LS전선이 글로벌 에너지 인프라 기업으로 도약하는 전환점”이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인프라를 바탕으로 급증하는 글로벌 해저케이블 수요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착공식에는 버지니아주 글렌 영킨 주지사와 팀 케인 상원의원, 릭 웨스트 체서피크 시장 등이 참석했다. 영킨 주지사는 환영사를 통해 “LS그린링크의 공장 착공은 버지니아주에 회사의 미래를 기꺼이 투자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웨스트 시장은 공장 부지로 들어서는 도로를 LS그린링크 사명을 따 ‘LS 1번가’(1 LS WAY)로 명명했다면서 도로 표지판을 구 대표에게 기념 선물했다.

다만, 케이블 원료인 구리에 관세 부과를 예고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변수다. 구 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관세가 분명 문제가 될 수 있다”면서도 “미국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굉장히 부족해서 가격이 오를 수밖에 없다. 관세가 문제 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기수 LS그린링크 법인장은 “미국의 2024년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만 32GW로 한국 연간 전력 수요(62GW)의 절반 규모다. 2030년 120GW로 세 배 가까이 늘어 케이블 수요도 급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형구([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