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격전에 최적화 군함"…거북선, 이순신 탄신일에 특허받았다
'이순신 장군이 전투에서 활용한 것으로 알려진 거북선과 측우기 등이 명예특허로 등록된다.특허청은 발명의 날(5월 19일) 60주년을 맞아 선조 발명가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거북선 등 선조의 우수 발명 15점을 심사해 14점을 명예특허로 등록 결정했다고 28일 밝혔다. 4월 28일은 충무공 이순신 탄신일이다.

명예특허 대상으로 결정된 발명품은 거북선·측우기이외에, 금속활자 앙부일구, 거중기, 아자방 온돌, 신기전기 화차, 자격루, 혼천시계, 풍기대, 비격진천뢰, 관상감 관천대, 연은분리법, 석빙고, 금속활자를 활용한 인쇄 방법 등이다. 심사 대상에 포함됐던 대동여지도는 제작 당시(19세기) 세계적으로 지도가 활발하게 제작돼 선행기술과 비교, 차별화한 특징이 없다는 이유로 등록 거절됐다. 특허청은 기술 진보성이나 산업이용 가능성, 희귀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판단했다.
거북선은 조선 수군의 주력 군함인 판옥선에 덮개를 덮고, 용두(龍頭)에 포를 설치한 형태다. 거북선은 돌격전에 최적화한 군함이었다. 덮개는 승조원을 보호하고, 덮개에 박힌 철심은 적병의 승선을 원천 봉쇄했다. 특허청은 "이런 형태의 군함은 당시 세계적으로 구경할 수 없었고, 전투에서도 상당한 위력을 떨친 점을 인정해 특허 등록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앙부일구(仰釜日晷)는 반구형 모양의 해시계다. 하늘을 우러러보는 가마솥 모양에 비치는 해 그림자(일구)로 '때를 아는 시계'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특허청은 앙부일구가 독특한 구조로 설계된 데다 정확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 특허를 받을 만하다고 판단했다.
거중기는 도르래 원리를 이용해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장치다. 이는 지면에 수평 방향 고정식 도르래와 이동식 도르래를 여러 개 이용해 무거운 물건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기술적 특징과 효과성을 인정받았다.

특허청은 이들 발명품을 발명 순서대로 특허등록번호를 부여하기로 했다. 신라시대 발명품인 아자방 온돌이 1번, 18세기 제작한 거중기가 14번이다. 특허청은 또 이들 발명품을 등록특허공보 형태로 특허정보검색서비스에 공개할 예정이다. 특허청은 선조 우수 발명의 명예 특허증을 제작해 국립중앙과학관 등 발명품이 전시된 기관과 협력해 명예 특허증을 수여하고 전시도 추진할 계획이다. 선조 우수 발명품을 활용해 지식재산의 중요성을 알릴 수 있도록 교육 콘텐트도 만든다.

한편 특허청은 발명의 날 60주년을 맞아 5월 한 달을 '발명의 달'로 지정하고 다채로운 기념행사를 열 계획이다.
김방현([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