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광주-알 힐랄] '맞불이야' 이정효의 광주, 초호화 군단 알 힐랄과 정면승부... 선발 라인업 공개

[사진]OSEN DB.

[사진]OSEN DB.


[OSEN=이인환 기자] 맞불이다. 그리고 불타오르네. 

광주는 26일(한국시간) 사우디 아라비아 제다 킹 압둘라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에서 2024-2025시즌 아시아축구연맹(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 8강전 알 힐랄과의 맞대결을 벌인다.

광주는 21일 새벽 사우디 현지로 떠나 적응훈련에 한창이다. 광주 선수들은 중동의 무더운 날씨와 사우디 팬들의 텃세와도 싸워야 한다. 모든 조건이 불리한 상황이다. 

한국축구계 전체가 광주를 지지한다는 것은 큰 힘이다. K리그 챔피언 울산과 포항도 8강 진출에 실패했다. 도시민구단 광주가 최초로 8강에 진출했다. 이제 한국대표가 된 광주는 K리그의 자존심을 모두 짊어지고 아시아 정복에 나선다. 

네이마르가 뛰었던 알 힐랄은 어떤 팀일까. 세계에서 가장 돈이 많은 사우디리그에서도 최고 명문으로 꼽히는 구단이다. 네이마르가 떠난 시점에서 알 힐랄에서 최고 비싼 선수는 칼리두 쿨리발리(34)다. 2022년까지 나폴리에서 뛰었던 ‘김민재 선배’다.

당시 쿨리발리가 첼시로 떠나면서 빈자리를 페네르바체에서 이적한 김민재가 메웠다. 나폴리를 33년 만의 세리에A 우승으로 이끈 김민재가 월드클래스로 성공한 계기였다. 쿨리발리는 2023년 알 힐랄로 이적했다. 현재 쿨리발리는 알 힐랄에서 주급만 55만 9526파운드(약 10억 6천만 원)를 받고 있다.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주급이 높은 선수다. 쿨리발리의 주급이 광주 국내선수 최고연봉보다 높은 셈이다. 

쿨리발리의 연봉은 2909만 5364파운드(약 551억 2천만 원)다. 광주는 2024시즌 총 연봉 96억 6198만 원을 지출했다. 쿨리발리 한 명을 팔아도 광주 같은 팀을 6개 정도 살 수 있다는 엄청난 계산이 나온다. 그래도 축구는 연봉순이 아니다.

제아무리 뛰어난 선수라도 약점이 있다. 축구는 개개인의 역량도 중요하지만 11명의 조직력과 전술이 승패를 가르는 관건이다. K리그에서도 ‘언더독’인 광주가 가장 잘하는 점이다. 광주가 유리한 점도 분명 있다. 배부른 알 힐랄은 광주만큼 절실하지 않다. 광주의 전력이 상대적으로 베일에 가려져 있다는 점도 유리하다.

전략만 잘 세운다면 경차로 스포츠카를 이길 수도 있는 것이 축구다.  아시아챔피언스리그 우승상금은 무려 1천만 달러(약 145억 원)다. 알 힐랄 선수 한 명 값도 안되지만 광주에게는 2년 예산이다. 동기부여는 광주가 가장 크다. 그렇기에 이정효 감독도 각오를 다지고 있다.

이정효 감독은 "오랜 기간 동안 알 힐랄을 분석했다. 우리가 조직력 면에선 앞선다고 본다”며 “축구는 팀으로 하는 단체 스포츠다. 우리 선수단의 가능성을 믿는다. 꼭 우승하고 싶고 그래야 한다. 늘 그렇듯 우리가 하던 축구를 할 것이다”라고 포부를 밝혔다.

결전을 앞두고 광주는 4-4-2로 나선다. 헤이스, 최경록이 전방에서 호흡을 맞춘다. 박태준, 이강현이 중원을 구성하고, 가브리엘, 아사니가 측면을 책임진다. 변준수, 민상기가 중앙 수비수로 호흡을 맞추고, 김진호, 조성권이 좌·우 풀백으로 나선다. 선발 골키퍼는 김경민.

반면 초호화군단 알 힐랄은 4-2-3-1이다. 알렉산드로 미트로비치, 말콤, 마르쿠스 레오나르두, 셀렘 알 도사리, 후벵 네베스, 세르게이 밀린코비치 사비치, 주앙 칸셀루, 쿨리발리, 하산 알 탐박티, 헤난 로디, 야신 부누가 나서면서 최정예로 나선다.

/[email protected]


이인환([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