印·파키스탄 화약고 카슈미르…무슬림 많은 인도령선 독립 투쟁
1947년 독립 직후부터 갈등…국경 없이 실질통제선으로 구분 印 인더스강 차단 위협에 파키스탄 "전쟁행위로 간주"…무력충돌 우려도
1947년 독립 직후부터 갈등…국경 없이 실질통제선으로 구분
印 인더스강 차단 위협에 파키스탄 "전쟁행위로 간주"…무력충돌 우려도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지난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에서 관광객을 상대로 총기 테러가 발생하면서 오랜 적대 관계이자 핵보유국인 인도와 파키스탄 간 무력 충돌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
이번 사건의 배경이 된 카슈미르는 두 나라의 분쟁 지역이다.
특히 인도령 카슈미르에서는 독립 또는 파키스탄과 합병을 요구하며 무장 투쟁이 벌어지고 있으며, 인도는 이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번 갈등 역시 이와 결을 같이 한다.
카슈미르는 인도 북서부 험준한 산악지대로 1947년 두 나라가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직후부터 영유권을 놓고 대립하는 곳이다.
당시 카슈미르에는 무슬림 농민이 70% 이상으로 다수였지만 지배층은 대부분 힌두교도였다. 다수 무슬림들은 파키스탄 편입 또는 독립을 요구했지만, 지배층은 인도 편입을 결정했다.
이에 무슬림을 중심으로 반발이 벌어졌고, 두 나라는 1947년부터 2년간 전쟁을 치렀다. 이후 유엔 중재로 카슈미르의 북서부는 파키스탄이, 중부와 남부는 인도가 점유하게 됐다.
하지만 양국은 1965년에도 카슈미르 문제로 전쟁했고, 1971년에는 방글라데시 독립과 연관해 다시 한번 전쟁까지 이어졌다.
두 나라는 1972년 심라 협정을 통해 1949년에 정한 카슈미르 내 휴전선을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통제선(LoC)으로 정했다.
하지만 인도령 카슈미르에는 무슬림 인구가 다수여서 여전히 무슬림 국가인 파키스탄과 합병하거나 따로 독립해야 한다는 이들이 많으며 극단주의 세력을 중심으로 무장 투쟁도 계속되고 있다.
특히 연방정부가 2019년 8월 인도령 카슈미르의 헌법상 특별 지위를 전격 박탈하면서 현지 분위기가 더욱 험악해졌다.
정부 조치에 따라 외교·국방 외 폭넓은 자치가 허용됐던 당시 인도령 ' 잠무-카슈미르주'는 잠무, 카슈미르, 라다크로 분리된 후 연방 직할지로 편입됐다. 원주민이 누렸던 부동산 취득, 취업 관련 특혜도 사라지면서 주민의 불만은 더 커졌다.
이 조치 직전인 2019년 2월에는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자살폭탄 테러가 발생해 인도군 40명이 사망하는 일이 벌어졌다. 그러자 인도는 1971년 전쟁 이후 처음 파키스탄을 상대로 대규모 공습을 실시하기도 했다.
이번 사건 역시 비슷하다.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 휴양지 파할감 인근에서 관광객 등을 상대로 발생한 총기 테러로 최소 2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다쳤다.
인도 경찰은 이번 사건을 이 지역에 대한 인도 통치에 반발하는 무장세력의 테러로 규정했으며, 파키스탄 테러단체 '라슈카르 에 타이바'(LeT)와 연관된 현지 반군조직 '저항전선'(TRF)은 이번 테러의 배후를 자처하고 있다.
이에 인도는 이번 테러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며 '인더스강 조약' 효력까지 중단하는 등 강경 대응에 나서 양국 긴장은 더 고조되고 있다.
인더스강 조약은 1960년 세계은행 중재로 체결된 것으로 이 조약에 따라 인도는 인도에서 파키스탄으로 흐르는 인더스강 지류의 흐름을 막을 수 없다. 조약을 중단한다는 것은 파키스탄으로 흐르는 물줄기를 막을 수도 있다는 의미다.
파키스탄 입장에서 인더스강 지류를 통해 유입되는 수자원은 파키스탄 전체 수자원의 80%에 달할 만큼 생명줄과 같다. 인도가 이 물줄기를 막으면 수력 발전이나 관개용수가 차단되며 전력 공급이나 농업에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이 때문에 파키스탄은 물줄기를 차단하거나 우회시키려는 어떤 시도도 '전쟁 행위'로 간주한다며 전면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인도가 외교적 제재를 넘어 2019년처럼 군사적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우려한다. 당장 인도 내 보수 언론이나 힌두 민족주의 정당을 중심으로 군사 행동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다만 2019년은 총선을 2개월 앞둔 상황이어서 정부가 강력한 모습을 보여 줄 필요가 있었지만, 지금은 당분간 선거도 없고, 미국과 관세 협상 등 경제적 이슈들이 더 중요해 군사적 충돌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의래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