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기아·모비스도 1분기 역대 최대 매출…현대차그룹, 2분기 전략은

현대차·기아가 지난 1분기 합산 매출 72조4253억원, 합산 영업이익 6조6422억원을 기록했다. 사진은 서울 서초구 현대차·기아 본사 전경. 사진 현대차그룹
기아가 지난 1분기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 현대차·기아의 합산 분기 매출은 70조원을 돌파했다. 자동차 부품 계열사 현대모비스도 완성차 판매 증가에 힘입어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2분기 미국의 자동차 관세 영향을 앞둔 현대차그룹은 생산 체계를 유연하게 조정해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25일 기아는 지난 1분기 연결 기준 매출 28조175억원, 영업이익 3조8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26조2129억원) 대비 6.9% 올라 역대 1분기 최대치를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전년(3조4257억원) 대비 12.2% 줄고, 영업이익률은 13.1%에서 10.7%로 떨어지는 등 수익성은 악화했다. 전날 실적을 발표한 현대차 역시 역대 1분기 최대매출(44조4078억원)을 기록했다. 합산한 매출은 72조4253억원, 영업이익은 6조6422억원에 달한다.

기아의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EV3. 기아는 유럽시장 EV3 판매 호조에 지난 1분기 역대 최다 글로벌 판매량(77만2648대)을 기록했다. 사진 현대차그룹
기아의 역대 최대 매출은 친화경차 중심의 신차 판매 호조 덕분이다. 기아는 지난 1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77만2648대를 팔아 역대 1분기 최다 판매 기록을 세웠다. 2014년(76만9917대) 이후 11년 만의 기록이다. 지난해 하반기 출시한 EV3와 스포티지, 쏘렌토 등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모델이 인기를 끌었다. 기아 관계자는 “관세 적용을 앞둔 미국 시장의 선 구매 수요와 인도 등 신흥시장 판매 호조 등으로 글로벌 판매가 늘었다”라며 “우호적인 환율 효과까지 이어져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라고 말했다.

외형은 커졌지만, 수익성은 악화했다. 북미·유럽 등 주요 시장에서 경쟁이 치열해지자 판매지원금(인센티브)을 늘렸기 때문이다. 기아는 인센티브 증가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 효과가 4440억원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대형 전기 SUV EV9 등 고수익 모델 판매 비중이 줄어든 것도 수익성을 악화(3690억원)시켰다. 김승준 기아 재경본부장(CFO)은 이날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미국 시장 기준 평균 인센티브가 지난해 1100달러(약 160만원)에서 올해 2000달러(약 290만원)로 늘었다”라며 “국내에서 생산하던 EV6, EV9 등 고수익 모델의 생산 거점을 미국 조지아주 공장으로 옮기면서 일시적으로 판매가 줄어든 영향도 있다”라고 말했다.

경남 창원 현대모비스 창원 공장에서 품질 검사가 진행되는 모습. 사진 현대모비스,
이날 1분기 실적을 발표한 현대모비스는 완성차 판매 호조에 힘입어 역대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연결 기준 매출 14조7520억원, 영업이익 7767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6.4%, 43.1% 늘었다. 지난 1분기 현대차·기아의 글로벌 합산 판매량(177만3471대)은 전년 동기 대비 0.4% 늘었는데, 친환경차 판매(38만6426대)가 24.4% 늘면서 고부가가치 부품 판매가 늘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전장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핵심 부품 판매가 늘었고, 글로벌 사후관리(A/S) 사업 매출이 환율 효과를 봤다”라고 말했다.

문제는 미국 자동차 관세 효과가 나타나는 2분기 이후다. 지난 3일(현지시간) 발효된 미국의 25% 자동차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는 이르면 다음 달 말부터 나타날 예정이다. 관세 부과 전 확보해둔 현지 판매 재고가 2~3개월 수준이기 때문이다.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24일 글로벌 신용평가사 무디스와의 공동 세미나에서 미국의 자동차 관세로 현대차·기아 합산 영업이익이 약 5조원 줄어들 것이라고 분석했다. 영업이익률이 1.8%포인트 낮아지는 수준의 타격이다.

지난 21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는 모습. 연합뉴스
현대차그룹은 이달 중순 출범한 관세 대응 태스크포스(FT)를 중심으로 종합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미국에 현지 완결형 공급망을 구축하고, 생산 거점을 조정해 관세 영향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TF를 이끄는 이승조 현대차 재경본부장(CFO)은 전날 현대차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기아 멕시코 공장에서 만들던 미국 수출 물량을 미국 현지에서 생산하고, 미국에서 만들던 캐나다 수출 물량은 멕시코에서 생산하는 등 생산 체계를 조정하고 있다”라며 “유연하고 신속한 대응으로 위기를 기회로 바꿀 것”이라고 말했다.



오삼권([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