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ng&Food] 꽃게, 지금이 제철…바닷속을 유영해 돌아온 봄의 맛!
다양한 아미노산과 단백질 풍부한 영양 덩어리…‘꽃게, 제대로 알고 맛있게 요리하기’사계절 뚜렷한 온대 기후의 ‘게’가 더 맛있어
타우린 함유해 혈압 낮추고 당뇨병 예방 효과도
삶는 것보다 껍질 째 익히는 게 풍미가 좋아

서양에서 꽃게를 ‘스위밍 크랩(swimming crab)’이라고 부르는 이유이기도 하다. 꽃게만 ‘유영’에 능한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에 보고된 게의 종류는 249종이다.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생물분류실 이상휘 선임연구원의 설명에 따르면 “꽃게, 민꽃게, 너두갈래민꽃게 등 국내에 서식하는 꽃게류는 20종이다. 그리고 꽃게가 속해 있는 꽃게상과(Portunoidea)의 형태적 특징이 바로 다섯 번째 가슴다리의 형태가 ‘유영형’”이라고 한다. 꽃게류에 해당하는 게들이 꽃게만큼, 또는 꽃게에 준하는 유영 기능을 갖추고 있단 뜻이다. 또한, 노처럼 생긴 다섯 번째 다리는 모래를 파서 몸을 숨길 때도 유용하다.
━
많고 많은 게 중에 꽃게인 이유

이런 이유로 대게 금어기는 6월~11월이지만 대게 암컷은 연중 포획 금지다. 이에 비해 꽃게 금어기는 두 달 정도로 짧다. 꽃게 산란기는 크게 5~9월인데, 그중 주 산란기인 6~8월을 금어기로 정해 자원을 보존하고 있다. 해역에 따라 산란 시기가 조금 늦은 곳도 있다. 일반적으로 꽃게 금어기는 6월 21일~8월 20일이지만, 연평도 주변인 서해5도 일부 해역은 7월 1일~8월 31일을 금어기로 정하고 있다. 금어기와 상관없이, 산란이 임박해 배의 껍데기 밖에 알을 품은 ‘외포란 꽃게’와 몸통 길이가 6.4㎝ 이하인 어린 꽃게는 연중 포획 금지다.
━
우리나라 서해 연근해서 서식하는 ‘꽃게’ 더 맛있어

단맛의 비밀은 아미노산에도 있다. 꽃게가 다양한 아미노산을 보유한 덕이다. 아미노산의 맛은 단맛과 짠맛, 신맛, 쓴맛, 감칠맛으로 나뉘는데, 각 맛을 대표하는 아미노산이 따로 있다. 그중 꽃게살의 단맛을 내는 주성분은 ‘글리신’이다. 단맛이 강한 아미노산이기도 하다. 글리신만이 아니라, 아르기닌과 베타인, 타우린도 꽃게만의 특별한 단맛과 감칠맛을 내주는 아미노산이다. 꽃게는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한 양질의 단백질 식품이기도 하다. 특히 성장에 필요한 필수아미노산인 라이신 함량이 풍부하다. 단백질 함량은 높지만, 지방이 적은 것도 장점이다. 맛이 담백하고 먹었을 때 소화가 잘된다. 또 꽃게의 타우린은 혈압을 낮추고 당뇨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꽃게 고를 때는 넓적다리가 투명해서 속이 붉게 비쳐야

살아 있다고 다 싱싱한 건 또 아니다. 갑각류는 움직임이 많을수록 하루가 다르게 살이 빠지기 때문이다. 오늘 새벽에 잡은 꽃게와 어제 잡힌 꽃게가 있다면, 무조건 오늘 잡은 게 좋다. 하루 전에 잡힌 만큼 살이 더 빠지기 때문이다. 꽃게를 고를 때는 넓적다리가 투명해서 속이 붉게 비치면, 껍질을 탈피한 지 얼마 안 됐다는 뜻이다. 살이 꽉 찬 게일수록 껍질이 투명하지 않고 다리 색이 하얗다. 또 배를 잡아서 살짝 누르면 단단해야 한다. 암수 구별은 배의 배꼽 모양을 보면 된다. 뾰족하게 솟아 있으면 수컷, 둥근 모양이면 암컷이다.
이세라([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