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단독]물밑 접촉 부인하더니…中고위인사, 美재무부 직접 찾아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벌인 ‘관세 전쟁’과 관련해 미국과 중국 양측이 물밑 접촉을 시작한 사실이 24일(현지시간) 확인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과 직접 접촉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매일 하고 있다”고 답하면서도 중국과의 구체적인 소통 채널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면서 145%에 달하는 대(對)중국 관세를 인하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관련 합의가 “2~3주 내”에 이뤄질 수 있다고 했다.

23일(현지시간) 오전 7시께 중국 재정부(기획재정부에 해당) 고위 인사가 10여명의 수행원을 대동하고 미국 워싱턴에 위치한 미 재정부 본부 건물로 입장하는 모습이 확인됐다. 사진은 양측의 회동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중국측 수행원. 이들은 G20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하기 위한 신분증을 착용하고 있었고, 신분증엔 '중국(China)'라는 국적이 표기돼 있었다. 워싱턴=강태화 특파원
반면 중국 측은 외교부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협상이 진행되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미국과 어떠한 협의나 협상을 한 적이 없고, (관련 언급은) 모두 가짜뉴스”라고 했다. 중국 상무부 역시 “(미국과의) 경제 및 무역 협상은 진행 중이지 않다”고 부인했다.

그러나 중앙일보는 이날 오전 7시께 중국 재정부의 고위 당국자가 10여 명의 수행원을 대동하고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바로 옆에 있는 재무부 청사로 입장하는 장면을 확인했다.

10여 명의 수행원을 이끈 고위 당국자의 정확한 신원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이들은 모두 현재 워싱턴에서 열리고 있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장 입장에 필요한 신분증을 착용하고 있었다. 전날 방미한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면담한 란 포안 중국 재정부장이 착용했던 것과 같은 종류의 신분증이다.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 참석을 위해 미국 워싱턴을 방문한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현지시간) 란 포안 중국 재정부장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기획재정부 제공

중국 측 인사들은 이날 오전 미 재무부 청사로 입장하는 고위 당국자의 모습을 촬영하려는 취재진을 강하게 막아섰다. 취재진이 “언론의 취재의 자유를 막을 권한이 없다”고 했지만, 중국 측 인사는 “우리 측 인원이 촬영되는 것에 대해선 거부할 권리가 있다”며 취재진이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진을 모두 삭제할 것을 요구했다.

취재진이 취재를 막은 당사자의 신분을 밝힐 것을 요구하자 그는 “신분을 밝힐 의무가 없다”며 이를 거부했다. 다만 그가 착용한 신분증엔 자신의 이름·사진과 함께 ‘중국(China)’이라는 국적이 표기돼 있었다.

이날 미·중 양국의 ‘재무부 회동’은 최 부총리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2+2 통상 협의’를 시작하기 1시간가량 앞선 오전 7시께부터 진행됐다. 결과적으로 한·미 관세 협상이 미·중 물밑 접촉에 이어 진행된 셈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관세 전쟁' 이후 외교 활동을 확대하고 있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왼쪽)이 24일 중국을 방문한 윌리엄 루토 케냐 대통령과 함께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진행된 환영식에 참석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외교 소식통은 중앙일보에 “미·중 양국의 재무부 채널이 실제로 가동되고 있다는 점은 양국 모두가 현재의 보복성 관세로 인한 국내외적 압박이 임계점에 이르렀다는 점이 확인된 의미”라며 “양측의 물밑 협상 결과에 관세 전쟁의 중대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번 관세 전쟁이 양국 정상들이 직접 등판한 자존심 싸움 양상으로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일종의 ‘윈윈 구조’를 만들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며 “중국 측이 이날 미국 재무부로 직접 찾아간 사실 자체가 중국의 입장에선 극도로 민감한 사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중국과 협상이 "매일 진행된다"며 "2~3주 안에 새 관세율을 정해질 것"이라면서도 정확한 소통 채널에 대해선 언급하지 않았다. 로이터=연합뉴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미·중의 물밑 협상이 가시화되는 상황에서 한국 역시 이에 맞춘 협상 전략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미국의 최종 목적지가 중국이고, 트럼프 대통령 역시 미국의 금융 불안과 인플레이션 상승 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협상의 속도조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중 간 소통이 이뤄진 직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에 “보잉은 중국이 구매하기로 약속했던 아름답고 완성도 높은 비행기를 가져가지 않은 것에 대해 중국에 채무 불이행을 선언해야 한다”며 중국에 대한 압박을 재개했다.

중국 당국은 관세 관련 보복의 하나로 자국 항공사들에 보잉기를 신규 주문하지 말 것을 지시했고, 이미 주문한 물량에 대해서도 인도 전에 당국의 승인을 받도록 했다. 이로 인해 지난 19일과 21일 2대의 보잉 맥스 737 항공기가 미국으로 복귀한 상태다.



강태화([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