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올해 한국 성장률 전망치 0.7%→0.5%로 2주만에 또 하향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이 한국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7%에서 0.2%포인트 낮췄다.
박석길 JP모건 이코노미스트는 24일 발표한 ‘한국, 관세 충격 전 GDP 성장과 분투(struggled)’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JP모건은 이달 초 한국 성장률 전망치를 1.2%에서 0.9%로 낮춘 이후 일주일 만인 지난 8일 0.7%로 내렸다가 이번에 다시 약 2주 만에 0.5%로 조정했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이러한 전망치 조정 이유로 내수와 수출 부진을 꼽았다.
그는 “건설 사이클 지연과 2024년 4분기와 2025년 1분기 정치적 소란(noise)으로 내수 회복이 지연됐다”며 “지난 2개 분기 동안 실질 수출 성장률은 실망스러웠고, 관세 충격을 앞두고 예상했던 강력한 선수요 출하량(프론트로딩)이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박 이코노미스트는 2분기에는 기저 효과로 민간 소비와 서비스 부문의 기술적 반등이 있을 테지만 상호 관세를 앞두고 수출은 지속해서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정책 조정이 향후 성장 동력을 제공하겠지만, 외부 수요의 역풍이 눈에 띄게 커질 것”이라면서 “이러한 배경에서 우리는 4월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을 요구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GDP 성장 데이터와 전망은 한국은행이 현재 신호를 보내는 것보다 더 많은 선제적인(front-loaded) 조치를 시사하지만, 금융 불균형과 외환 안정성에 대한 한국은행의 조심성(caution)을 고려하면 우리는 2026년 2분기까지 분기별 25bp(1bp=0.01%포인트) 인하 전망을 유지한다”고 했다.
조문규([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