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트럭으로 관세 확대하나…美12개주 "관세중단" 소송도

미 상무부는 23일(현지시간) 중·대형 트럭과 관련 부품 수입이 국가안보에 미치는 위험성에 대한 조사를 벌인다고 밝혔다. 현재 외국 공급 업체들이 정부 보조금과 약탈적 무역 관행으로 미국 수입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것이 미국의 안보를 위태롭게 하는지 확인해 대응 조치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에 개인용 경량 픽업트럭은 해당되지 않는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3일부터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승용차와 경량 픽업트럭에 25%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반면 일부 자동차 부품에 대해선 관세를 면제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자동차 업체들을 위해 일부 자동차 부품에 관세를 면제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미국은 지난달 12일부터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했는데 여기에 포함된 범퍼·차체·서스펜션 등의 부품을 부과 대상에서 빼려 한다는 것이다.

━
관세중단 소송, 공화당 주지사도 참여

미 대형 소매업체들도 관세 부과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월마트·타깃·홈디포 등 소매업체 최고경영자(CEO)들은 지난 21일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공급망 혼란은 2주 이내에 가시화될 것”이라며 “물가가 오르고 (매장의) 진열대가 텅 비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CNN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및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RB) 의장에 대한 발언 수위가 낮아진 것은 소매업체들의 경고와 시장 변동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발효 후 미국의 관세 수입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발표된 미 재무부 자료에 따르면 4월 관세 수입은 전달보다 60% 이상 늘어 150억 달러(약 21조4000억원)를 기록했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달 12일부터 부과한 철강·알루미늄에 대한 관세 25%의 영향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승호([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