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서해구조물은 어업용” 되풀이…정부 ‘맞불 카드’ 검토
정부가 23일 서울에서 한·중 간 ‘제3차 해양협력대화’를 열고 중국이 서해의 한·중 잠정조치수역(PMZ)에 무단으로 설치한 구조물과 관련, 해양 권익 침해를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전했다.이날 대화에는 강영신 외교부 동북·중앙아국장과 홍량(洪亮) 중국 외교부 변계해양사 국장이 각기 수석대표로 참여했다. 강 국장은 중국이 PMZ에서 어업용 양식 시설이라며 2018년 이후 일련의 구조물을 설치한 데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한·중의 배타적 경제수역(EEZ)이 겹치고 경계 획정 협상이 여전히 진행 중인 PMZ에선 일방적인 현상 변경을 초래할 수 있는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은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관련 질문에 “(해양협력대화에서)실무선에서 우리의 입장을 강하고 단호하게 전달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제가 장관급에서 이미 문제를 제기했고, 지금은 실무 국장들이 좀 더 기술적인 문제까지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중국은 해당 구조물이 어업용이라는 기존의 주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보인다. PMZ에서의 어업 활동을 허용하는 한·중 어업협정의 규정을 이용, 구조물 설치를 일방적으로 진행하는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 조 장관도 “한·중 어업협정에 구조물에 대한 정확한 금지 규정이 있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중국의 태도에 따라 한국도 PMZ 내에 비슷한 양식시설을 설치하는 등 단계별 비례 대응을 고심하고 있다. 당초 해당 구조물이 고정식인지 명확지 않아 유엔 해양법협약에 따른 문제 제기는 어렵다는 쪽에 무게를 뒀던 정부 내 기류도 다소 달라지는 분위기다.
조 장관은 “비례적 대응 조치를 포함해서 실효적인 대안을 검토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입장이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도 2022년부터 몇 차례에 걸쳐 토의를 진행했다”고 말했다. 다만 “(비례적 조치의)경제적 효용성과 여러 가지를 검토해서 무엇이 가장 실효적인지 결정을 내리겠지만, 미리 예단하고 싶지는 않다”고 말했다.
정영교.박현주([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