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재무 "중국 개도국 대우는 불합리…美中 빅딜 기회 있어"
워싱턴서 대담…"中, 과잉생산에 의한 수출주도서 탈피해야" "IMF·WB, 세계 경제 균형 회복 등 본연 역할에 충실해야"
워싱턴서 대담…"中, 과잉생산에 의한 수출주도서 탈피해야"
"IMF·WB, 세계 경제 균형 회복 등 본연 역할에 충실해야"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은 23일(현지시간)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인 중국을 개발도상국으로 규정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면서도 관세 '치킨게임'을 벌이고 있는 미중 양국이 '빅딜'을 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날 워싱턴 DC에서 열린 국제금융연구소(IIF) 대담에서 중국의 경제 모델은 "지속적으로 (무역) 불균형을 만든다"면서 "이대로 가면 중국의 현재 모델은 중국을 해칠 뿐 아니라 전 세계를 해친다"고 주장했다.
베선트 장관은 또 "중국은 자신들이 변해야 한다는 것을 안다"며 "과잉생산에 의한 수출로부터 벗어나 자국 소비자들과 내수를 향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세계 두 번째 경제 대국인 중국을 개도국으로 대우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그것은 많은 서방 시장의 희생 속에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베선트 장관은 "내가 이전에 말했지만 (미중간) 빅딜의 기회는 있다"며 초고율 관세로 갈등을 빚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관세, 무역 등을 아우르는 포괄적 합의를 도출할 가능성이 있음을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글로벌 무역 재균형을 돕기 위해 100개국 이상이 우리에게 접근했다"고 소개한 뒤 "우리는 의미 있는 논의를 하고 있으며, 중국 등과의 논의를 고대한다"고 말했다.
베선트 장관은 또 브레턴우즈 체제의 산물인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의 목적은 "균형을 회복하고 보존하는 것"이라며 두 기구가 거시경제 안정과 개발이라는 핵심 의무에 다시 집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IMF와 WB가 기후변화와 같은 이슈에 과도하게 관여함으로써 효율성이 감소했다면서 IMF와 WB가 '이해관계자'들에게 봉사할 수 있도록 개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베선트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IMF와 WB의 춘계 회의 개막에 즈음해 나왔다.
베선트 장관은 "그들(IMF와 WB)이 자신들의 임무에 충실할 수 있다면 트럼프 행정부는 그들과 기꺼이 협력할 것"이라고 밝힌 뒤 "미국 우선주의는 미국 유일주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동맹국들의 협력을 촉구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조준형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