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 사니 더 저축해야”…소비침체, 경기 때문만은 아니다
계속되는 소비 침체가 단순히 경기 때문만이 아니라 인구구조 변화에 기인한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수명이 길어지면서 저축은 늘리고, 소비는 줄이게 됐다는 설명이다.한국개발연구원(KDI)이 23일 발표한 ‘인구 요인이 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간(2004~2024년) 한국인의 기대수명(0세 출생자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연수)은 77.8세에서 84.3세로 약 6.5세 증가했다. 같은 기간 평균소비성향은 52.1%에서 48.5%로 3.6%포인트 하락했다. 기대수명이 1년 증가할 때 평균적으로 소비성향이 0.48%포인트 하락한다는 게 KDI의 추산이다.
소비성향 하락은 은퇴 이후 길어진 여생에 대비한 저축 동기 강화와 관련이 있다. 퇴직 연령에 큰 변화가 없는데 수명이 길어졌다. 퇴직 후 소득이 적고 불안정한 일자리에 종사할 가능성에 커졌으니 저축을 늘리게 되는데, 그만큼 소비는 줄여야 한다. 다만 KDI는 평균소비성향이 2030년대 중반부터 반등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20년간 기대수명 증가가 지난 20년의 절반 수준인 약 3.5세에 그칠 전망이라서다.
또 자산을 많이 축적한 초고령층(75세 이상) 인구 비중이 늘어난다는 점도 소비성향 상승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통상 소득이 낮은 소득이 낮은 청년기와 노년기에는 소비성향이 높게 나타나고, 소득이 높은 장년기에는 낮게 나타난다.
김미루 KDI 연구위원은 “기대수명 증가에 대응해 은퇴 시점이 적절히 조정될 수 있도록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제약하는 구조적 요인들을 해소할 필요가 있다”며 “연공서열형의 경직적인 임금구조를 개선하고 직무 및 성과 중심의 임금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장원석([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