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살 뺀 인공지능’ 선보인 네이버, AI 주도권 잡기 승부수
━
AI 시대 새 생존전략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네이버 스퀘어 역삼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경량화 모델 ‘하이퍼클로바X 시드(SEED)’와 소버린 AI 전략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 네이버클라우드]](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4/24/4bcf2730-a225-4cd8-8418-2ba234a8e012.jpg)
네이버클라우드는 23일 서울 네이버 스퀘어 역삼점에서 열린 ‘테크밋업’ 행사에서 자체 개발한 경량 AI 모델 ‘하이퍼클로바 X 시드(SEED)’ 모델 3종을 오픈소스로 공개한다고 밝혔다. 3종은 파라미터(매개변수) 수에 따라 3B(30억 개), 1.5B(15억 개), 0.5B(5억 개)로 나뉜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이날 “AI 모델을 실제 서비스에 적용할 때 기업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문제가 비용”이라며 “AI 기능을 부분적으로 적용하고 싶을 때도 경량화된 모델이 실용적인터라 앞으로도 경량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업데이트 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네이버는 이 3가지 모델을 24일부터 상업용 목적으로 무료 이용할 수 있게 했다. 국내 기업 AI 모델의 상업용 무료 공개는 하이퍼클로바X 시드가 처음이다. LG AI연구원의 AI 모델 엑사원은 연구 목적에 한해서만 무료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기업들이 GPU(그래픽처리장치) 리소스 부담 없이 가장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모델을 국내 기업 최초로 무료 제공해 AI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창업자 이해진 의장의 경영 복귀 이후 네이버가 처음 공식적으로 AI 모델을 공개했다는 점에서도 관심을 끌었다. 네이버는 이날 이해진 의장이 전부터 강조해온 소버린 AI 전략에 대해 모델 소개 전 약 30분에 걸쳐 설명하기도 했다. 김유원 대표는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상황에서 AI를 스스로 만들고 운영할 역량은 안보와 직결되는 만큼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소버린 AI 구축은 국가적 차원의 총체적 역량이 필요한 장기적인 체력전”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술 확보를 넘어 일상에 밀착된 혁신적인 AI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AI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빅테크들 사이에서 국내 AI 생태계 확장을 발판으로 한 네이버의 소버린 AI 전략이 얼마나 효과를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기술 경쟁에서 밀리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네이버는 다가올 AI 에이전트 시대 핵심 기술로 꼽히는 추론 AI 모델을 아직 시장에 공개하지 못하고 있다. 이날 올 상반기 안에 하이퍼클로바X 최고급(플래그십) 모델 기반으로 개발 중인 ‘추론 모델’을 선보인다는 계획만 발표했다. 국내 AI 업계 관계자는 “앞으로 중요한 것은 경쟁력 있는 성능의 모델을 얼마나 적은 자원으로 만들어 내고 이를 얼마나 싸게 서비스할 수 있느냐”라고 말했다.
홍상지([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