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항공소포 화재사건 배후에 러 정보기관"
'일회용 요원 모집해 지시' 정보장교 지목
'일회용 요원 모집해 지시' 정보장교 지목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유럽 각국이 지난해 발생한 항공소포 화재사건의 배후로 러시아 정보기관을 지목해 수사 중이라고 독일 ARD방송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는 독일·영국·폴란드·리투아니아 당국 수사에서 러시아군 총정찰국(GRU)이 항공소포 사보타주(파괴공작)를 계획한 뒤 민간인을 고용해 지시한 정황이 파악됐다고 전했다.
유럽연합(EU)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파괴공작에 투입할 요원을 모집했다는 이유로 지난해 12월 GRU 소속 데니스 스몰랴니노프 대령을 제재했다. 폴란드 검찰은 올해 초 같은 혐의로 러시아인 알렉산드르 B를 기소했다.
ARD는 러시아 반체제 성향 조사단체 '도시어 센터'가 입수한 문건을 인용해 스몰랴니노프 대령이 10여년 전부터 항공기 계기착륙장치(ILS)와 관제탑 통신 방해 등 민간항공을 대상으로 한 공작을 연구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독일 주재 러시아 대사관은 자국 정보기관이 항공소포 공작을 꾸몄다는 의혹을 "편집증이자 음모론"이라며 부인했다.
지난해 7월 독일 라이프치히와 영국 버밍엄, 폴란드 바르샤바의 물류센터에서 소포에서 불이 나는 사건이 잇따라 발생했다.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발송된 이들 소포에는 마그네슘을 이용한 발화장치가 장착돼 있었다.
소포에 발화장치를 설치한 우크라이나인, 택배업체 DHL과 dpd를 이용해 소포를 직접 발송한 리투아니아인은 사건 직후 체포됐다. 수사당국은 러시아 정보기관이 여러 다리를 건너 '일회용 요원'을 모집한 뒤 돈을 주고 공작을 지시한 것으로 파악했다.
지난해 8월 바르샤바에서 미국과 캐나다로 발송된 또다른 소포도 수사대상에 올랐다. 이들 소포에는 운동화·티셔츠 따위와 함께 발화장치 대신 위치추적기가 들어있었다. 폴란드 검찰은 구체적인 운송경로를 추적하기 위한 일종의 시험 공작으로 보고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계연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