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리 터너 北인권특사 면직…루비오 "민주·인권 美국익 안돼"
북한 인권 정책을 담당해온 줄리 터너 미국 국무부 북한인권특사가 면직된 것으로 22일(현지시간) 뒤늦게 파악됐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국무부의 민주주의 및 인권 담당 조직을 대폭 축소하면서 북한 인권을 담당하는 업무도 사라진 것으로 파악된다.
북한인권특사는 2004년 발효된 북한인권법을 토대로 만들어진 자리로, 미국의 북한 인권 관련 정책 전반에 관여한다. 대사급 직책으로 미 상원의 인사청문회와 인준 절차를 거쳐야 하는 주요 보직이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1기 때인 2017년 1월 로버트 킹 전 특사가 물러난 뒤 후임자를 임명하지 않았고, 바이든 행정부 3년차에야 6년간의 공백 끝에 터너 전 특사가 지명됐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터너 전 특사를 면직하면서 북한 인권을 전담하는 직책은 사라지거나 장기 공석이 불가피하게 됐다.
터너 전 특사의 면직은 트럼프 2기의 정책 기조에 따른 정부 조직 개편과도 관련이 있다.

이번 조직 개편에 대해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은 “지금의 국무부는 비대하고 관료주의적이며 강대국이 경쟁하는 새 시대에 필수적인 외교 임무를 수행할 수 없다”며 “마구 확장하는 관료주의는 미국 핵심 국익의 진전보다 극단적인 정치 이념을 더 중요시하는 체제를 만들었다”고 했다. 루비오 장관은 특히 “법에 명시되지 않고 미국의 핵심 국익과 부합하지 않는 프로그램은 사라질 것”이라며 고위직들에게 미국에서 근무하는 국무부 직원의 15%를 감축하는 계획을 제출하라는 지시를 함께 내렸다.
앞서 국무부가 부산 영사관을 포함한 전 세계 대사관 10개와 영사관 17개를 폐쇄하는 방안을 검토한다는 보도가 나왔지만, 이날 개편안엔 관련 내용은 담기지 않았다. 다만 로이터통신은 국무부 관계자를 인용해 “이번 개편안은 워싱턴 본부에만 해당되고, 재외공관은 향후 조정이 있을 수 있다”고 전했다.
강태화([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