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 복구비만 1조 넘는데…예방 예산은 5년째 제자리 [산불 한달]

22일 산림청에 따르면 올해 산불방지대책 예산은 국비 기준으로 578억6900만원이다. 산불 진화차와 같은 지상용 진화장비 확충부터 산불재난특수 진화대원의 인건비, 농가에서 쓰레기를 임의로 소각하는 것을 막기 위한 영농부산물 파쇄기 임차비용 등 19개 항목이 책정됐다. 2017년께 150억원대 수준이던 산불방지 예산은 2021년부터 500억대로 늘어났지만, 이후 수년째 엇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산불 예방 예산은 수년째 500억원 대

실제로 산림헬기 도입ㆍ운영을 위한 예산은 울진 산불이 발생한 2022년 828억원에서 이듬해 1100억원대로 늘었다. 하지만 올해 938억원으로 줄었다. 재난 직후 관심이 집중될 때에만 관련 예산이 반짝 늘어난 이후 다시 줄어드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산불 예방 예산은 수년 째 답보상태인데 대형 산불 피해액과 관련 복구비는 갈수록 늘고 있다. 울진ㆍ강원 산불의 경우 피해액은 2261억원으로 집계됐고 복구비로 4160억원이 책정됐다. 지난달 발생한 경북 산불 시설 피해액은 1조1306억원으로, 피해 복구를 위해 1조4000억원의 추경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부 교수는 “사후에 수천억, 수조 원대 복구비를 쓸 게 아니라 봄철 대형산불이 연례화된 만큼 원인을 알고 대비하는데 국가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
산 솎아내는 데 연간 약 3조원 쓰는 미국
문현철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호남대 교수)은 “한국전쟁 이후 산림 녹화과정에서 숲은 그대로 둬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생겼고, 50년 넘게 산에 과도한 연료 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치한 탓에 대형 산불을 피할 수 없게 됐다”며 “불폭탄이 된 산을 푸르고 안전한 산으로 만들기 위해 임도를 만들고 지나치게 빽빽한 숲을 솎아내며 관리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은화([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