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애물단지 폐보냉백, 재활용 해법 찾았다

소각장에서 태워질뻔 한 폐보냉백을 재생 플라스틱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신선식품 배송이 늘며 다회용 보냉백이 급증한 가운데, 친환경 재활용 방식도 확산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22일 유통·제조업계에 따르면 쿠팡은 중견 제조업체와 함께 폐기가 확정된 ‘로켓 프레시백’을 원료로 활용해 재생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소재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로 쿠팡은 연간 약 8000여 t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대신 연간 2300여 톤(t) 규모의 재생 플라스틱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지난 2020년 프레시백을 도입한 쿠팡은 연간 2억 개 이상의 스티로폼 상자 소비를 줄이는 효과를 봤다. 현재 신선식품 주문 10건 중 약 7건은 프레시백으로 배송된다. 다만 보냉백도 오래 되면 낡아져서 폐기해야 하는데, 알루미늄·나일론 등을 혼합한 소재라 재활용하기는 쉽지 않았다. 쿠팡의 경우 100회 사용한 프레시백은 노후화·위생 등의 문제로 전량 소각 처리해왔다.

문제 해결의 실마리는 중견 제조업체 엔피씨주식회사(옛 내쇼날푸라스틱)가 제공했다. 재생 원료로 물류 파렛트(화물 운반대)를 생산하는 이 회사의 제안으로 양사는 지난해 프레시백을 활용한 재생 소재 기술을 개발해냈다. 프레시백을 고열로 녹여 플라스틱 원료로 변환한 뒤, 특수 공정을 거쳐 가공하는 방식이다.

엔피씨주식회사는 쿠팡 프레시백 재생 사업을 위해 지난해 7월 재활용 설비 공정을 구축하고 재생 플라스틱으로 수출용 파렛트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쿠팡 관계자는 “폐기하려던 프레시백을 재활용하는데 성공해 친환경 순환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게 됐다”고 말했다.





김경미([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