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배터리 업체들, 초고속 충전 경쟁…'안전성·인프라' 확보 관건
'배터리 굴기'로 전기차 시장 주도권 장악에 나선 중국 업체들의 공세가 심상찮다. 세계 1위 배터리 제조사인 중국의 CATL이 5분 충전에 520㎞를 갈 수 있는 배터리를 공개했다. 지난 3월 세계 2위 배터리 제조사이자 세계 1위 전기차 제조사인 중국의 비야디(BYD)가 5분 충전으로 400㎞를 갈 수 있는 충전 기술을 공개한 지 한 달 만이다. 국내 업체들이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기술 개발에 속도를 올려야 중국 업체를 압도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22일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CATL은 23일 개막하는 상하이모터쇼에 앞서 개최한 테크데이 행사에서 5분 충전으로 520㎞를 갈 수 있는 2세대 션싱 배터리를 공개했다. 션싱 배터리는 -10℃의 저온에서도 15분 만에 80%까지 충전이 가능하다. 용량이 큰 배터리 시스템을 활용하면 최대 1500㎞를 주행할 수 있다. CATL은 일반적인 급속 충전 셀에 별도의 보조 배터리 팩을 결합해 성능과 주행거리를 강화했다고 설명했을 뿐, 구체적인 충전 기술을 밝히진 않았다.

속도만 놓고 볼 때 중국 업체들의 충전 기술은 다른 업체를 압도한다. 국내에서는 현대차그룹이 E-GMP(전기차 전용 플랫폼) 기반의 800V 초급속 충전 기술을 갖추고 있다. 현대차 '아이오닉5'와 '아이오닉6' 등이 초고속 충전소를 이용하면 약 18분 충전으로 388㎞ 주행이 가능하다. 테슬라의 슈퍼차저는 최대 250kW의 출력으로 15분 충전 시 약 320㎞의 주행거리를 제공한다. CATL과 BYD가 발표한 고속 충전 기술은 현대차와 테슬라의 급속 충전 속도와 비교하면 3배 이상 빠르다.
━
5분 충전 우리도 기술력은 있다
실제 초고속 충전소를 설치하면 기존 전력망에 상당한 무리를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초고속 충전기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전력망을 설치해야 하는 인프라 공사가 필수다. 기존 전기차 충전소를 활용하려 해도 짧은 시간에 많은 전기를 소비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설치해야 하는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중국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현재 중국 전역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소는 320만개. BYD는 앞으로 초고속 충전이 가능한 충전소 4000개를 새롭게 짓겠다는 계획이지만 천문학적인 비용이 투입되는 만큼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

━
캐즘에 LG도 전기차 충전 사업 철수
이런 가운데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주목하는 건 차세대 기술이다.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기업들은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전고체 배터리는 화재·폭발 위험이 낮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고전압·고출력 구현이 가능해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기술이다. 이 기술을 먼저 상용화 하는 업체가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다고 업계는 보고 있다.
박영우([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