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도, 사유림이 90%인데...'산불진화' 임도 개설비 산주인 부담? [산불 한 달]
지난 7일 낮 12시 5분쯤 경남 하동에서 산불이 나자 산림당국은 긴장했다. 지난 3월 인근 산청에서 발생해 엄청난 피해를 낸 초대형 산불의 악몽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산림당국은 하동에서 산불이 나자 산불 2단계를 발령하고 헬기 36대 등을 투입해 진화에 나섰으나 일몰 전 주불을 잡지 못했다. 그런데 반전이 일어났다. 밤에도 진화작업에 나서 이날 오후 11시 기준 진화율 99%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야간에 진화 작업을 계속할 수 있었던 것은 이곳에 설치된 임도(林道) 덕분이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임도가 없었으면 야간에 불을 끄기 어려웠고, 자칫 대형 산불로 번졌을 가능성이 컸다”고 말했다.
━
임도 개설된 하동 신속한 진화 가능
한국에서 산불이 대형화하는 요인으로는 숲에 잔뜩 쌓인 낙엽 등과 함께 부족한 임도도 꼽힌다. 임도는 소방차가 들어갈 수 있는 숲속 찻길을 말한다. 임도가 없는 산은 소방차가 올라갈 수 없어 불을 신속하게 끌 수 없다. 특히 야간 진화작업을 위해서는 임도가 필수라고 한다. 헬기는 안전 문제 때문에 야간에 뜰 수 없기 때문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임도가 있으면 진화 효율이 5배 이상 높아진다”라며 “임도에서 1m 멀어질수록 산불 피해 면적이 1.55㎡씩 증가한다는 연구도 있다”고 전했다.

━
산불진화용 임도는 2020년부터 개설
산림청에 따르면 이번에 산불로 큰 피해를 본 의성의 산불 임도는 710m로 조사됐다. 안동과 경남 산청에는 산불 임도가 없다. 국립산림과학원은 2020년 ‘산림 특성을 고려한 임도 밀도 목표랑 산정 연구’에서 “한국의 산 1ha당 최소 6.8m의 임도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를 위해서는 1만6000㎞를 추가로 개설해야 한다.
임도가 신속하게 개설되지 않는 데는 몇 가지 원인이 있다. 우선 예산이다. 산림청에 따르면 ㎞당 임도 공사비는 3억3500만원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산에 도로를 개설하다 보니 예산이 많이 드는 게 사실”이라며 “임도 지원에 정부가 예산지원에 소극적”이라고 말했다. 산림청은 올해 1574억원을 들여 산불진화임도 500㎞를 개설할 예정이다.

━
경북·경남 사유림은 90%에 달해
이와 관련, 남성현 전 산림청장은 “자치단체 사무인 임도 사업을 국가사업으로 환원하고, 사유림에 임도를 시설하면 산림소유자가 부담하는 10%를 국가가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임도 시설 사업은 2020년부터 지방분권 등을 이유로 국가 사무에서 자치단체 사무로 이관됐다. 반면 임도와 유사한 산사태 예방사업은 사유림이라도 국가안보와 사회재난안전 차원에서 중앙정부가 70%, 지방정부가 30%를 각각 부담하고 있다.

━
환경단체, 임도 개설에 반발

김방현([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