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기고] RISE 시대, 전문대학은 지역혁신 전초기지

김헌영 중앙RISE위원회 위원장(전 강원대학교 총장)
2025년, 우리는 대한민국의 미래 교육 방향과 지역 균형발전 전략을 결정짓는 역사적인 분기점을 맞이하고 있다. 하나는 6월 3일 실시되는 ‘제21대 대통령 선거’이며, 또 하나는 올해부터 본격 시행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체계)」의 출범이다.

이런 변화의 흐름 속에서, 전문대학 역시 역할의 재정립을 요구받고 있다. 전문대학은 오랫동안 대한민국 고등직업교육의 한 축을 담당해 왔다. 「고등교육법」 제47조는 전문대학의 교육목적을 ‘사회 각 분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이론을 가르치고 연구하며 재능을 연마하여 국가 사회의 발전에 필요한 전문직업인을 양성한다’로 규정하고 있다. 현재 전문대학은 전문학사 과정뿐 아니라 전공심화 학사 과정과 2022년부터는 전문기술석사 과정을 운영하며 고등직업교육의 체계를 확장해 가고 있다.

특히 전문대학의 실질적 성과는 취업률에서 두드러진다. 2024년 기준 전문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은 72.8%로, 일반대학의 64.6%보다 8.2%p 높으며, 일반대학 졸업 이후 다시 전문대로 유턴 입학한 학생은 11,321명에 이르고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또 주목할 점은, 2024학년도 성인학습자 신입생이 36,842명으로 전년 대비 4.6% 증가했고, 전문대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 수도 24,303명으로 전년 대비 70.5% 늘었다는 사실이다. 이는 전문대학이 기존 만 18세 학령인구 중심 구조에서 전 생애 주기를 아우르는 직업교육의 플랫폼으로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해외 사례 역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미국의 커뮤니티 칼리지(Community colleges)는 운영 예산의 60%를 주 정부와 지자체가 부담하며, 주민들이 거주지 근처에서 합리적인 비용으로 직업교육을 이수하고, 지역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결과 커뮤니티 칼리지는 지역 인재를 지역에 머물게 하고, 지역 경제와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에 기여하는 핵심 인프라로 기능하고 있다.

2025년부터 전면 시행되는 RISE 체계는 고등교육 정책의 중심축이 중앙에서 지역으로 이동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다. 전문대학은 이제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하여, 지역의 문제를 함께 인식하고 함께 해결하는 전략적 파트너로 거듭나야 한다.

즉 전문대학은 ‘인재 양성–취·창업–정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의 핵심 허브로 자리 잡아야 하며, 이를 뒷받침할 제도적 기반의 확충과 교육체계의 전면적인 혁신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 이런 맥락에서, RISE 체계 속 전문대학의 핵심 역할은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지역밀착형 인재양성의 거점이 돼야 한다. 전문대학은 직무 중심 실무교육을 통해 산업 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인재를 공급하는 데 강점을 지닌다. 지역의 중소기업, 스타트업, 특화산업 등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전문화된 교육과정을 신설하거나 기존 프로그램을 고도화하고, 현장 적응력이 뛰어난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직업·평생교육의 중심축이 돼야 한다. 전문대학은 중장년층의 재교육, 지역민의 기술 향상, 은퇴 이후의 재진입을 위한 평생학습 체계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 이는 교육 기회의 형평성을 실현함과 동시에, 지역사회 전체의 생산성을 끌어올려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는 기반이 된다.

셋째, 지역문제 해결형 교육모델을 구현해야 한다. 지역학 교과목, 비교과 체험학습 등을 통해 학생들이 지역 현안을 이해하고, 창의적 해결 역량을 갖춘 시민이자 직업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교육 경험을 기반으로 전문대학은 지자체와 협력하는 지역 현안 해결형 프로젝트의 전략적 거점이자, 지역 공동체의 실질적 변화와 지속 가능한 혁신을 견인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넷째, 로컬 창업과 일자리 창출의 인큐베이터가 돼야 한다. 전문대학은 지역의 산업 자원과 연계된 창업을 적극적으로 장려하고, 교육·멘토링·공간·자금 지원이 유기적으로 통합된 창업지원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이는 청년 인재가 지역에 머무르고 뿌리내릴 수 있는 실질적 기반이 될 수 있다.

다섯째, 외국인 인재 유치와 국제화의 통로가 돼야 한다.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취업 연계, 다문화 가정을 위한 언어교육과 문화 적응 프로그램 등을 통해 외국인 유학생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정착하고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또 다문화 가정에 대한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류 활동을 통해 지역 공동체의 포용성을 높이고, 지역의 국제화를 선도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RISE는 ‘지역과 대학의 상생구조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라는 국가적 과제에 대한 해답으로 제시된 정책사업이다. 대한민국의 고등직업교육 역시 지역을 회복시키고 재구성하는 교육으로 전환해야 하며, 전문대학이 그 중심에 서야 한다. 각 대학이 자신이 속한 지역과 산업의 특성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고, ‘지역에 있는 대학’을 넘어 ‘지역을 이끄는 대학’으로 나아갈 때, RISE의 비전은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 것이다.

본 기사의 내용은 김헌영 중앙RISE위원회 위원장의 견해이며 중앙일보사의 공식 견해가 아님을 밝혀둡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