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 "S&P500, 1928년 이래 대통령 취임 후 최악"
"다우지수, 1932년 이후 최악의 4월로 향하는 중"
"다우지수, 1932년 이후 최악의 4월로 향하는 중"
(서울=연합뉴스) 황정우 기자 =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 이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실적이 역대 대통령 취임일부터 같은 기간을 기준으로 1928년 이래 최악이라고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은 비스포크 인베스트먼트 그룹 자료를 인용해 이같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일(1월 20일) 이후 S&P 500 지수는 14.0% 급락했다.
WSJ은 또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가 1932년 이후 최악의 4월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이달 들어 다우지수는 21일까지 9.1%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중앙은행의 독립성과 달러화 지위에 대한 의구심까지 커지면서 이날 뉴욕증시가 급락했다.
이날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48% 하락했다. 또 S&P 500 지수와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도 각각 2.36%, 2.55% 떨어졌다.
주가가 하락할 때 안전자산 선호 심리 확대로 미국 중장기 국채 가격이 오르는 경우가 일반적이었지만, 이달에는 주가 하락과 함께 미국 국채 가격과 달러화 가치가 동반 하락하는 현상이 불거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안전자산으로서의 달러화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는 진단이 쏟아지고 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의 가치를 반영한 달러인덱스는 이날 장중 97.9까지 저점을 낮추며 2022년 3월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날 10년 만기 미국 국채 금리는 4.413%로 전장 대비 8.2bp(1bp=0.01%포인트) 올랐다. 채권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승리 이후 몇 주 동안 미국 주요 주가지수는 감세와 규제 완화 등 친기업 정책에 대한 기대에 힘입어 급등했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가 물가 상승과 경제 성장 둔화를 야기할 수 있는 공격적인 관세정책을 추진했고, 많은 투자자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을 양보를 끌어내려는 협상 전술로 치부했지만 이달 2일 트럼프 대통령이 예상보다 강한 기본 관세와 상호 관세를 발표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고 WSJ은 전했다.
수주일 전 미국 주식 비중을 낮춘 호라이즌 인베스트먼트의 최고투자책임자 스콧 래드너는 "정책 구조 때문에 불안정하고 알 수 없는 (미국) 경제에 자본을 투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미국개인투자자협회의 주간 설문조사에 따르면 일반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는 시각이 8주 연속 50%를 넘어섰는데 이는 1987년 이후 최장기간이라고 WSJ은 전했다.
BMO 프라이빗 웰스의 수석 시장 전략가 캐럴 슐레이프는 광범위한 하락세에 대해 "우려스럽다"면서 "사람들이 알고 싶은 더 큰 이슈는 '미국 예외주의 트레이드'가 단기에 끝날 것인가 아니면 중장기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인가 하는 점"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황정우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