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만에 칸영화제 초청된 인도영화...대도시 속 별빛 같은 여성들 우정 담았다

지난해 인도 영화로는 30년 만에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돼 심사위원 대상을 받은 ‘우리가 빛이라 상상하는 모든 것’의 첫 장면이다.
영화 초반, 대도시의 풍경 뒤로 줄곧 흐르는 음성은 실제로 뭄바이에서 사는 사람들의 목소리다. “23년이 됐지만, 아직도 떠나야만 할 것 같은 도시”, “뭄바이가 시간을 훔쳐요”와 같은 대사가 흘러나온다. 파얄 카파디아 감독이 스태프들과 함께 사전 취재하며 모은 인터뷰이들의 음성이다.
영화는 학생 파업을 다룬 장편 다큐멘터리 ‘무지의 밤’(2021)에 이은 감독의 두 번째 작품. 장편 극영화로는 데뷔작이다. 한국에선 지난해 10월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첫선을 보였고, 23일 국내 개봉한다. 지난해 칸 영화제 심사위원 대상에 이어 시카고국제영화제 심사위원상, 올해 아시안필름어워즈 작품상 등 전 세계 영화제 47개 부문을 수상했으며, 로튼토마토 신선도 지수 100%를 기록하는 등 평단의 극찬을 받은 작품이다.

같은 병원에서 근무하는 두 간호사 프라바(카니 쿠스루티)와 아누(디브야 프라바), 그곳의 요리사 파르바티(차야 카담)가 이 영화의 주인공이다. 카메라가 따라가는 그들의 삶은 고되다. 파르바는 정략결혼 직후 독일로 일하러 떠나 연락이 두절된 남편을 뒀다. 힌두교도인 아누는 종교가 다른 남성의 연애가 금기시된 인도에서, 이슬람교도인 시아즈와 만나고 있다. 파르바티는 면직공장에 다니는 남편을 따라 고향에서 이주했지만, 남편과는 일찍 사별하고 20여년 간 살아온 집이 철거 위기에 처했다.

세 여성은 그들의 나이 차만큼 다른 삶을 살아왔다. 셋 중 가장 젊고, 애인과 주체적으로 시간을 보내는 아누는 부모의 뜻에 따라 결혼을 한 프라바를 이해하지 못한다. 파르바티는 장성한 자식을 둔 중년의 여성이다. 그들에게 공통점은 뭄바이에서 함께 시간을 보냈다는 것뿐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셋의 우정은 성근 모양으로도 힘이 된다. 대도시에서 느끼는 외로움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감독은 인도언론 인디안 익스프레스와의 인터뷰에서 “뭄바이에 일하러 온 사람들에겐 가족이 있지만, 도시에 있는 친구와 동료에게서도 새로운 가족을 찾는다”며 “나이가 들수록 나는 우정에 더 의존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파르바티의 고향이자 그의 이주를 돕기 위해 프라바와 아누가 함께 향하는 이곳은 뭄바이와 완전히 다른 모습이다. 뭄바이를 벗어난 이곳에서 인물들은 더욱 자유로워진다. 내레이션이나 메신저 속 대화를 통해 소통하던 도시에서와 달리, 등장인물 간 직접 대화하는 장면이 잦아지는 연출이 대표적. 감독은 비가 오는 몬순 시즌(6, 7월)의 뭄바이와 몬순이 지나가 건조한 11월의 라트나기니를 담아 대비감을 극대화했다.
그들이 빛이라 상상한 것은 어디에 있을까. 빛을 ‘희망’으로 치환하면 뭄바이에, 글자 그대로의 ‘빛’을 떠올린다면 라트나기니와 같은 고향에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영화는, 숨 쉴 구멍이 되어주는 우정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고도 넌지시 말하고 있다. 15세 이상 관람가, 118분.
최혜리([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