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홈플러스에 1000억 '마통' 주면서 살리려 했다…신용 하락 몰랐다"

22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지난 2월 25일 한국기업평가로부터 단기신용등급이 ‘A3’에서 ‘A3-’로 하락한다는 정기평정 예비통보를 받았고, 이튿날(2월 26일) 곧바로 등급 재심을 요청했다. 재심을 요청하는 자리에서 MBK측은 홈플러스가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상환 조건을 변경하고, 1000억원 한도의 신용공여 한도를 제공하는 신용보강 방안을 제시했다.
주식의 일종인 RCPS는 만기 시 투자금 상환을 요청할 수 있는 권리와,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함께 갖는다. 해당 상환권은 MBK의 특수목적법인(SPC)인 한국리테일투자와 홈플러스가 보유하고 있었다. MBK 측은 등급 하락을 통보받자 홈플러스만 상환을 요구할 수 있게 RCPS 발행조건을 변경했다. 이를 통해 홈플러스가 RCPS 잔액 1조1000억원을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계상하면 부채비율을 낮출 수 있고, 신용등급을 방어할 수 있을 거라는 구상이었다.
MBK는 또 펀드 운용을 총괄하는 펀드 운영자(GP·General Partner)에 1000억원 규모의 신용공여 한도(크레딧 라인) 제공 방안을 제시했다고 한다. 쉽게 말해 홈플러스가 1000억원 한도 내에서 자금을 요청하면 펀드 운영자인 MBK가 자체 신용을 통해 조달해주겠다는 의미다. MBK가 일종의 ‘마이너스 통장’을 보장해주면서, 홈플러스의 신용도를 방어하기 위해서다.
신용평가사들은 2월 13일 첫 기업설명(IR) 미팅 이후 홈플러스 측에 등급 하락 가능성을 경고해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MBK 관계자는 “IR 미팅 뒤에 신용등급이 떨어질 것을 바로 인지했다면 RCPS 상환 조건 변경과 크레딧 라인 제공 같은 조치도 그때 미리 준비했을 것”이라며 “재심 때 이런 방안들을 제시했다는 건 그때까지는 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정황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시 1000억원 규모의 신용 공여를 제시할 정도로 (홈플러스의) 등급을 유지하고 회사를 꾸려나가고 싶은 의지가 있었다”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원회는 홈플러스와 MBK 관계자들을 증권선물위원장 긴급조치(패스트트랙)로 검찰에 통보했다. 금융당국은 ‘2월 28일부터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신청을 준비해왔다’는 홈플러스 측의 주장을 거짓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MBK·홈플러스 측이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인지한 시점이 쟁점이 될 전망이다.
고석현([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