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선종] 이번엔 아시아·아프리카 출신 유색인 교황 나오나
외신, 이탈리아 파롤린, 필리핀 타글레 등 유력후보 거명 가톨릭 저변확대 추세…유흥식 추기경도 다크호스로 언급
외신, 이탈리아 파롤린, 필리핀 타글레 등 유력후보 거명
가톨릭 저변확대 추세…유흥식 추기경도 다크호스로 언급
(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프란치스코 교황이 21일(현지시간) 선종함에 따라 차기 교황 선출 절차가 내달 시작될 전망이다. 첫 아메리카 대륙 출신이었던 프란치스코 교황에 이어 아시아 또는 아프리카에서 비(非)백인 교황이 배출될지 주목된다.
외신들은 우선 교황청 국무원장인 피에트로 파롤린 추기경(이탈리아)과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추기경(필리핀)을 유력한 후보로 꼽았다.
파롤린 추기경은 2013년부터 10년 넘게 바티칸 2인자 국무장관으로 일한 풍부한 관료 경험이 강점으로 꼽힌다.
중도 성향이면서 프란치스코 교황의 개혁 작업을 일부 유지하고 교회를 안정시킬 인물이라는 평가다.
타글레 추기경은 개혁적 성향에 아시아 출신이라는 점에서 차기 교황으로 유력하게 거론된다.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에서 투표권을 가진 추기경 138명 가운데 110명을 프란치스코 교황이 임명한 탓에 개혁 성향 인사에 표가 쏠릴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가톨릭은 지난 세기부터 지속된 교세 위축을 고민하며 저변 확대를 위해 성장 잠재력이 큰 아시아를 특히 주목해왔다.
도박사들은 두 추기경에게 우선 베팅하고 있다. 미국 베팅 사이트 폴리마켓은 이날 오전 현재 파롤린 추기경이 선출될 확률을 42%, 타글레 추기경은 30%로 점쳤다.
비유럽 출신으로 아프리카 성직자들도 여러 명 거론된다.
교황청 '온전한 인간 발전 촉진을 위한 부서' 첫 장관을 지낸 피터 코도 아피아 턱슨 추기경(가나)이 도박 사이트 배당률 3위권에 올라 있다.
턱슨 추기경은 교황청의 여러 보직을 역임해 2013년 프란치스코 교황 선출 당시에도 후보로 언급됐다.
이번 콘클라베에서는 아프리카 출신으로 프리돌린 암봉고 추기경(민주콩고)도 후보군에 추가됐다.
아프리카 출신이 교황으로 선출되면 492∼496년 재임한 젤라시오 1세 이후 1천529년 만이 된다. 아시아 출신 교황은 아직 한 명도 없었다.
타글레 추기경과 함께 유흥식 추기경(한국)도 다크호스로 꾸준히 언급된다.
보수 진영에서는 교회법 전문가인 페테르 에르되 추기경(헝가리), 이탈리아 밀라노 대주교를 지낸 안젤로 스콜라 추기경(이탈리아) 등이 거론된다.
스콜라 추기경은 2013년에도 유력한 후보로 언급됐으나 지금은 82세의 고령이 단점으로 꼽힌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동성애자 포용 등 개혁 정책을 거세게 비판해온 레이먼드 버크 추기경(미국)과 게르하르트 뮐러 추기경(독일)도 하마평에 오르고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계연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