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쉐린 굴욕…"별점 저주됐다" 반납·거부 식당 늘어나는 까닭

세계적 미식 평가 안내서인 '미쉐린 가이드'에 이름을 올린 식당이 '별점'을 자진 반납하는 분위기가 유럽 식당가에서 생겨나고 있다. 미쉐린의 별점을 받는 건 큰 영예로 여겨지지만 일부 파인다이닝(고급식당) 셰프들은 별점에 따른 오해와 압박이 생겼다고 토로했다.
2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이탈리아 루카에 있는 레스토랑 '질리오'는 지난해 10월 미쉐린 측에 자신들이 받은 별을 삭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이 레스토랑의 공동 소유주인 베네데토 룰로는 미쉐린에 등재되면서 부담이 커졌다고 설명했다. 지나치게 기교를 부린 음식과 격식을 차리는 분위기의 식당일 거라 지레짐작하는 손님들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그는 자신들이 추구하는 식당은 누구나 편하게 찾을 수 있는 곳이라면서 "티셔츠와 샌들, 반바지 차림으로도 고급 레스토랑에 갈 수 있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분자요리의 대가인 프랑스 셰프 마르크 베라는 최근 프랑스 메제브 스키 리조트에 새로 연 레스토랑에 미쉐린 비평가들의 출입을 금하기도 했다. 이런 움직임에는 미쉐린 별점을 받으면 이를 계속 유지해야 한다는 강한 압박을 받게 된다는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가디언은 짚었다.
일례로 2011년 영국 런던의 미쉐린 선정 레스토랑 '피터샴 너서리'의 셰프였던 스카이 긴겔은 미쉐린의 별점이 저주가 됐다면서 다시는 이를 받지 않기를 기도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해당 레스토랑을 떠나면서 미쉐린 가이드 등재 이후 일이 너무 바빠졌고 자신의 캐주얼한 스타일과는 상반되는 파인다이닝 경험을 기대하는 고객들의 불만에 시달렸다고 하소연했다.
미쉐린은 이런 목소리를 반영하려는 시도를 수년간 지속해왔다. 신세대 미식가나 인플루언서의 목소리를 반영하거나, 친환경적 노력으로 '지속 가능한 미식'을 실천하는지를 따지는 '그린 스타'를 도입하기도 했다.
하지만 가이드북의 수익성이 점차 떨어지자 최근엔 각국 관광 당국으로부터 돈을 받기 시작했다. 음식 비평가 앤디 헤일러는 "2016년부터 2018년 사이에 미쉐린은 비즈니스 모델을 바꿔야 했다"면서 "더는 인쇄된 가이드북을 사는 사람이 없어 한국, 미국, 중국 등의 관광청으로부터 돈을 받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로 인해 미쉐린 가이드 평가의 객관성을 담보하기 힘들어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러나 미쉐린 측은 레스토랑을 선정하고 스타를 주는 과정은 제대로 작동되고 있으며, 후원과 등급을 담당하는 팀은 별개라는 입장이라고 가디언은 전했다.
김지혜([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