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 2만8000원 환급...부산 대중교통객, 하루 37만명 늘렸다
“붐비는 출근 시간에 1, 2호선을 갈아타는(환승) 게 번거로워 지하철은 잘 안 탔어요. 그런데 교통요금을 쓰는 만큼 동백전으로 환급해주니 자가용보단 지하철로 출퇴근하게 됐습니다.” 부산에 사는 직장인 차모(37)씨는 “동백전으로 한 달에 2만원 정도 환급받아 주로 편의점과 주유소에서 쓰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
대중교통 이용객, 5년 새 日 37만5000명 늘어
부산에선 최근 5년 사이에 차씨처럼 대중교통 이용자가 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부산시 집계를 보면 지난해 부산의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은 44.6%를 기록했다. 대중교통 이용객이 2020년보다 비율로는 4.2%p, 하루 단위로 보면 37만5000명 늘었다는 의미다. 대중교통 수단 가운데 도시철도(19.0%)와 시내버스(18.8%) 수송 분담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시는 국내 첫 대중교통 환급 제도인 동백패스와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도입을 통한 버스 전용 차로 확보가 대중교통 수송분담률을 끌어올리는 데 기여한 한 것으로 본다.
동백패스는 부산 지역화폐인 ‘동백전’과 연계해 대중교통 이용금 일부를 돌려주는 제도다. 만 19세 이상 시민이 동백전 후불교통카드로 한 달에 4만5000원 넘게 쓰면 대중교통 요금을 동백전으로 환급해준다. 한 달 한도는 9만원으로 한 사람당 최고 4만5000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다.
지난달 기준 동백패스 가입자 숫자는 67만1000명이며 한 사람당 월평균 2만7940원을 환급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0월 부산시가 시민 2만명을 대상으로 만족도 조사를 했더니 응답자의 76.5%가 “동백패스 때문에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BRT는 2016년부터 2020년 사이 4개 구간(내성~중동ㆍ내성~서면ㆍ서면~충무ㆍ서면~사상)이 순차적으로 개통해 현재 총 30.3㎞ 구간에서 운영되고 있다. BRT 도입 초기엔 도로 폭이 좁고 길이 복잡한 부산 특성에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도 많았다. 하지만 4개 구간 개통 이후 시내버스 속도는 44%(시속 14.9㎞→21.5㎞, 정차 시간 포함) 빨라지고, 제시간에 정류장에 도착하는 정시성 편차는 기존 2~3분에서 1분22초~1분45초 수준으로 개선됐다.
부산시 관계자는 “조사 결과 BRT에 대한 만족도는 60%, 구간을 늘리자는 의견은 64%로 집계됐다”며 “이를 토대로 대티와 하단, 문현ㆍ수영 등 구간에 BRT를 27.1㎞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민주(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