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트럼프 관세'가 곧 해고 통지…'초저가'로 몸집 키운 쉬인 빌리지의 눈물 [이도성의 본 차이나]

이도성 베이징 특파원
" 아, 사장님! 대답해주면 안 된다니까요! "
갑자기 기자 등 뒤로 귀가 찢어질 듯한 고함이 들렸다. 깜짝 놀라 돌아보니 한 남성이 씩씩거리며 기자를 노려보고 있었다. 지난 17일 중국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시에 있는 한 봉제공장에서다.

공장 2층 사무실에서 이 업체 사장과 대화를 나누던 중이었다. 후베이(湖北)성 출신인 그가 27년 전 맨손으로 광저우에 건너온 뒤 상주 직원 100명이 넘는 건실한 회사를 일궈낸 일화를 듣고 있었다.


지난 17일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 난춘진에 위치한 이른바 '쉬인 빌리지'에서 노동자들이 패션플랫폼에 납품할 초저가 의류를 만들고 있다. 이도성 특파원
사장은 기자에게 음료를 건네며 대화를 이어나가려 했지만 공장 총관리인은 아랑곳하지 않고 기자를 사무실 밖으로 밀어냈다. “외국 기자와는 함부로 대화를 나누다간 곤란한 일을 겪게 된다”는 이유를 들었다.

공장 밖에서 15분 넘게 설득한 끝에야 총관리인이 취재 요청을 받아들였다. 업체명과 총관리인의 이름을 익명 처리하고 공장 직원들을 개별 인터뷰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한 뒤였다.


지난 17일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 난춘진에 위치한 '쉬인 빌리지' 전경. 이도성 특파원


‘초저가’ 경쟁력이 관세 직격타로

이 공장이 위치한 판위(番禺)구 난춘(南村)진은 이른바 ‘쉬인 빌리지’로 불리는 곳이다. 중국 온라인 패션 플랫폼 ‘쉬인(Shein)’의 하청업체들이 몰려 있다는 이유에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쏘아 올린 미·중 관세전쟁에 직격타를 맞은 곳이기도 하다. 이곳에 모인 거의 모든 공장이 쉬인에 초저가 의류를 납품한다. 중국 내 쉬인 공급업체는 지난해 5800곳에서 올해 7000곳으로 늘어난 상태다.

이날 기자가 찾은 공장 역시 100명에 가까운 노동자들이 재봉틀과 맨손 바느질로 여성 의류를 만들고 있었다. 매달 200종이 넘는 신상품이 탄생하는 ‘패스트 패션’의 현장이다.

지난 17일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 난춘진에 위치한 이른바 '쉬인 빌리지'에서 노동자들이 패션플랫폼에 납품할 초저가 의류를 만들고 있다. 이도성 특파원
공장을 가득 메운 재봉틀 소리로 대화 자체가 잘 이뤄지지 않을 정도였다. 직원들은 기자가 총관리인과 실랑이를 하는 동안에도 눈길 한 번 주지 않고 작업을 이어갔다.


총관리인은 “가뜩이나 어려운 시기라 어떤 기사가 나갈지 몰라 더 예민하게 반응했다”며 사과했다. 그는 “지난해엔 미국에서 들어오는 주문이 적지 않았지만 올해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고 불안감을 드러냈다.

이어 “이곳 업체들 대부분 미국으로 수출하는 상품을 만들기 때문에 판매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파산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공장 주변을 둘러보니 이미 곳곳에 공장과 창고 부지를 싸게 세 놓는다는 공고가 덕지덕지 나붙은 상태였다.


지난 17일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 난춘진에 위치한 이른바 '쉬인 빌리지'의 모습. 게시판에 공장과 창고 부지를 임대한다는 광고가 붙어 있다. 이도성 특파원


‘소액 면제’ 폐지가 곧 노동자 생존 문제

미국은 그동안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800달러 (약 115만 원) 미만 소액 소포엔 관세를 면제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3일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이후 관세는 30%, 90%, 120%까지 순차적으로 올랐다.

다음 달 2일이면 소포 1건당 최소 100달러 관세가 적용된다. 심지어 6월부터는 고정관세가 200달러로 오른다. 지난해 미국 세관이 면세 처리한 저가 소포 14억 개 가운데 60% 정도가 중국에서 건너온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7일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 난춘진에 위치한 이른바 '쉬인 빌리지'의 모습. 공장 노동자를 찾는 채용공고가 건물 벽에 붙어 있다. 이도성 특파원
이로 인해 중국산 초저가 상품을 미국에 판매하며 시장 점유율을 늘려오던 쉬인은 가격 조정이 불가피해졌다. AP 통신에 따르면 쉬인은 지난 16일 “품질을 희생시키지 않고 고객들이 사랑하는 제품을 계속 제공하고자 오는 25일부터 가격을 조정할 예정”이라며 “현 가격에 구매하길 권장한다”고 공지했다.


낮은 가격과 무료 배송으로 소비자를 유혹했던 쉬인의 경쟁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는 자연스럽게 하청공장 수천 곳과 노동자 수십만 명의 생존 문제로 이어진다. 기자가 만난 쉬인 빌리지 노동자 대부분은 인터뷰 과정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이름에 나오자 인상이 구겨졌다.

지난 17일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 난춘진에 위치한 이른바 '쉬인 빌리지'의 모습. 빌딩형 공장들이 입점한 대형 상가에 수많은 간판이 매달려 있다. 이도성 특파원


시간 아까워 서서 밥 먹는 노동자들

쉬인 빌리지는 점심시간에도 쉴 틈 없이 돌아갔다. 대형 상가건물에 입점한 빌딩형 공장에선 시끄러운 미싱 작업 소리가 창문 밖으로 뚫고 나왔다. 몇몇 노동자는 창가에서 담배를 문 채 멍하니 하늘을 바라보다가 몇 분 지나지 않아 작업장으로 돌아갔다.


한 공장은 같은 건물에 구내식당을 운영했는데 일부 직원은 밥그릇을 들고 일어선 채 허겁지겁 음식을 입에 욱여넣었다. 그리곤 곧바로 다시 공장 안으로 들어가 작업을 시작했다. 완성 제품 개수에 따라 추가로 수당을 받는 임금 구조 때문이다. 1분 1초가 아까워 점심시간마저 쪼개가며 재봉틀을 돌리는 것이다. 이곳 노동자 상당수는 매일 12시간 넘게 근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 사람들은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소액 면세’ 폐지를 마치 ‘해고 통지’처럼 여겼다. 의류공장에서 근무하는 한 30대 남성은 “일감이 떨어지면 다른 일을 알아볼 생각”이라면서 “직업을 바꿀 수 있는 직원들보다는 공장 사장들이 ‘아예 문을 닫아야 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떨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17일 중국 광둥성 광저우시 난춘진에 위치한 이른바 '쉬인 빌리지'의 한 공장 구내식당에서 노동자들이 시간을 아끼기 위해 밥그릇을 들고 식사하고 있다. 이도성 특파원


‘버티기 모드’에 애국 소비 움직임까지

끝까지 가보겠다고 선언한 중국 당국은 일단 ‘버티기 모드’다. 블룸버그 통신은 “쉬인이 일부 생산 시설을 해외로 이전하려는 계획에 대해 중국 정부가 반대하고 나섰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중국 기업들을 살리기 위한 ‘궈차오’(國潮·애국주의 소비) 바람을 불어넣고 있다. 14억 인구를 바탕으로 한 단단한 내수 시장에 대한 믿음이다.


온라인상에선 유명 인플루언서들이 앞다퉈 중국산 제품 구매를 독려하고 나섰다. 최근 중국 소셜미디어엔 미국 브랜드 제품의 원가를 폭로하고 공장 직거래를 독려하는 영상이 인기를 얻고 있다. ‘해외 유명 브랜드도 알고 보면 다 중국산’이라는 내용으로 이름값에 비싼 돈을 지불하는 대신 직접 중국 업체에 사라는 취지다.


쉬인 빌리지에서 만난 한 재봉사도 “중국처럼 가성비가 좋으면서 품질도 괜찮은 상품을 만드는 곳은 없다”며 “중국 기업은 강하기에 빠르게 변화해 살아남을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또 다른 공장 책임자는 “캐나다와 남미 등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돌파구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도성([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