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난 트럼프·머스크와 동문, 학맥으로 관세협상 해결" [대선주자 릴레이 인터뷰④]

“더 이상의 양보는 없다”며 네 번째 대선에 도전한 안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선거캠프에서 가진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펜실베니아 대학 동문”이라며 “학맥(學脈)을 고리로 트럼프 대통령과 관세 협상에 나서겠다”고 했다. 안 후보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에 대해선 “겉과 속이 다른 사람”이라며 “‘25만원 기본소득’ 정책으로 한국 경제가 무너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나는 대학교수, 의사, 벤처 사업가, 정치인 등을 두루 경험한 전문성 있는 대선 주자"라며 "중도 확장성을 기반으로 본선에서 이재명을 꺾겠다”고 했다.
Q : 네번째 대선 도전이다. 왜 다시 안철수인가.
A : 국가 위기 상황이다. 국내 경제는 최악으로 치닫고 대외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전쟁을 벌인다. AI를 포함한 과학기술 패권 경쟁도 치열하다. 이를 극복하려면 전문성을 갖춘 대통령이 필요하다. 절박한 심정으로 출마했다.

Q : 더 이상 단일화와 양보는 없나.
A : 지난 대선 때는 제 3당 후보여서 당선 가능성이 없었다. 이젠 그럴 필요가 없지 않나.
Q : 과학 대통령이 왜 필요하나.
A : 미ㆍ중이 과학기술 패권 전쟁을 벌이고 있다. 기술이 있어야 번영하고 안보도 보장된다. 대만은 TSMC 때문에 미국으로부터 안보를 보장 받는다. 또 세계적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성장할 땐 ‘이과 지도자’가 존재했다. 독일을 유럽의 부국(富國)으로 만든 앙겔라 메르켈 전 총리는 물리학 박사고, 중국 시진핑 주석도 화학 전공자다.
Q : 내각에 전문가를 두면 되는 거 아닌가.
A : 과학이 여러 분야로 발달하면서 전문가에게 맡기면 된다는 방식이 불가능해졌다. 대통령이 누구보다 잘 알아야 한다.
Q : AI ‘3대 강국’이 핵심 공약이다. 비전이 뭔가
A : 박정희 전 대통령이 경부고속도로를 깔아 경제를 성장시킨 것처럼 ‘AI 고속도로’를 깔겠다. 기업에 여러 혜택을 줘 AI 하드웨어를 키우는 방식이다. 대규모 언어 모델 같은 ‘라지랭귀지모델(LLM)’ 등 소프트웨어와 콘텐츠도 개발할 것이다. 과학 인재도 100만명 육성에 나설 것이다.
![19일 오후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후보자 1차 경선 조별 토론회'에 참석한 안철수(왼쪽)·김문수 후보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뉴스1]](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4/21/7002ec1d-8674-4b7b-8ab4-2b9609c71b30.jpg)
Q : 이재명 후보도 AI 공약을 내놓았다. 차이가 뭔가.
A :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의 차이다. 이재명 후보는 ‘한국형 챗 GPT’를 개발해 무료로 사용하게 해주겠다고 했다. 정부가 AI 사업을 주도한다는 건데 엉터리다. 혁신 분야는 민간이 주도하는 거다. 2020년 총선 당시 이 후보가 경기도 배달 앱을 만들겠다고 했는데 어떻게 됐나. 시장에 영향력이 있었나.
Q : 대통령이 되면 기업인을 내각에 기용하겠다고 했다.
A : 정치권에 기업인 진출이 가장 적은 나라가 한국이다. 경영은 제한된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는 것이다. 국정 운영에도 폭 넓게 적용된다. 국무총리든, 장관이든 기업인을 등용할 거다.
Q : 트럼프 대통령,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와 대학 동문임을 강조한다.
A : 미국 펜실베니아대 와튼 스쿨(MBA) 동문이다. 미국은 땅이 커서 동문이라면 각별하게 생각한다. 트럼프 대통령과는 1기 집권 때 만난 적이 있는데 동문이라고 하니 ‘와튼 스쿨 출신은 다 천재’라며 웃더라. 관세 협상에 자신 있다.

Q : 경선이 험난하다. 당내 기반과 보수층 지지세가 약하다는 평가가 있는데.
A : 이번 경선은 모순적이다. 경선 후보 8명을 찬탄(탄핵 찬성)과 반탄(탄핵 반대)으로 나누는데 김문수ㆍ홍준표ㆍ나경원 후보 같은 반탄 후보는 경선에 나오면 안 된다. 탄핵 반대 여론은 30%에 불과했다. 우리 당이 반탄파만 믿고 가면 이재명 대통령을 만들어 주는 길로 가는 거다.
Q : 어떻게 극복하겠다는 건가.
A : 내가 최종 50% 득표를 넘길 수 있는 중도 확장성이 있는 후보란 점을 강조하겠다. 우리 당에서 이재명을 꺾고 당선 가능성이 높은 게 안철수다. 도덕성에선 따라올 사람이 없고, 여러 전문 분야를 경험했다. 정치하기 전에는 재산 절반(안랩 보유 주식 1500억 원 가량)도 기부했다.
Q : 이재명 후보는 어떻게 평가하나.
A : 겉과 속이 다르다. 지난 대선때는 국회의원 불체포 특권 포기를 공약으로 내걸더니 2023년엔 입장을 바꿔 자신에 대한 체포동의안 부결을 공개적으로 요청했다. 경제는 아예 망칠 사람이다. 최근 이 후보가 성장이란 말을 자주 하지만, 실상은 포퓰리즘 나눠먹기에 불과하다. 재벌과 빈민층에게 똑같이 25만원씩 주면 경제가 성장하나.
Q :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탈당을 촉구했다.
A : 민주당이 가장 원하는 바가 '이재명 대 윤석열' 구도다. 그러면 필패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해 12월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대통령(윤석열) 탄핵소추안의 투표를 하고 있다. [중앙포토]](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4/21/cc81bb4e-a854-4600-a265-99da9507db7c.jpg)
Q : 윤 전 대통령과 공동 정부는 결과적으로 실패하지 않았나.
A : 윤 전 대통령이 공동 정부를 하겠다는 약속을 어겼다. 저는 과학이나 교육 등 분야에서 역할을 할 생각이 있었다. 윤 정부 초반 교육부 장관을 추천했지만 수용되지 않았다. 그래도 지난 대선 단일화는 후회하지 않는다. 다만 계엄 사태에 책임감을 느끼고 대국민 사과를 했다.
Q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의 출마 여부는 어떻게 보나.
A : 대선에 나오면 안 된다. 지금 미국과 관세 협상만 하더라도 할 일이 너무나 많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9일 서울 강북구 국립 4?19민주묘지에서 열린 제65주년 4?19 혁명 기념식에서 헌화 및 분향을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4/21/12827b20-99ca-4bd4-a7ce-a565c169c3a4.jpg)
Q : 개헌을 1호 공약으로 내세웠다.
A : 제왕적 대통령제와 막강한 국회의 권한을 축소해야 한다. 계엄도 잘못됐지만 거대 야당이 장관 등 29명을 탄핵해 행정부를 마비시키는 것도 삼권 분립에 맞지 않는다.
안철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 핵심 공약
-5대 전략 산업(AIㆍ반도체ㆍ미래 모빌리티ㆍ바이오ㆍK-서비스 산업) 육성
-대통령ㆍ정부ㆍ국회 권한 줄이는 개헌 추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폐지, 검찰 수사지휘권 복원
-교육ㆍ노동ㆍ의료ㆍ연금ㆍ공공 등 5대 개혁 추진
-한·미 동맹 강화, 핵추진 잠수함 도입
-5세까지 돌봄 국가책임제, 출산ㆍ육아지원금 1000만 원
-치매 국가책임제 등 안심 복지
-중앙 권한 및 예산 지방에 이양(지방균형발전)
-대통령ㆍ정부ㆍ국회 권한 줄이는 개헌 추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폐지, 검찰 수사지휘권 복원
-교육ㆍ노동ㆍ의료ㆍ연금ㆍ공공 등 5대 개혁 추진
-한·미 동맹 강화, 핵추진 잠수함 도입
-5세까지 돌봄 국가책임제, 출산ㆍ육아지원금 1000만 원
-치매 국가책임제 등 안심 복지
-중앙 권한 및 예산 지방에 이양(지방균형발전)
김규태([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