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전북 친구 10만명 모십니다"…'2036 하계올림픽' 유치 열기 끓어오를까

김관영 전북특별도지사가 지난 8일(현지시간) 유승민 대한체육회장과 함께 스위스 로잔에 있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본부를 방문해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과 콜린다 그라바르키다로비치 IOC 미래유치위원장을 만나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비전을 설명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왼쪽부터 김관영 지사, 그라바르키다로비치 미래유치위원장, 바흐 IOC 위원장, 유승민 회장. 사진 전북특별자치도


모바일 도민증 발급…“생활인구 확충”

전북특별자치도가 좀처럼 끓어오르지 않는 ‘2036 하계올림픽’의 유치 열기를 높이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모바일 도민증’을 주기로 했다. 전북에 살지 않더라도 휴대전화 앱에서 도민증을 발급받으면 입장료·숙박비·음식값 할인 등 각종 혜택을 주는 사업이다.

전북자치도는 20일 “올해 가칭 ‘전북프렌즈’ 10만명을 유치하는 운동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출향 도민과 중앙 부처 향우, 전북 방문객 등 외지인을 전북프렌즈로 가입시킨 뒤 다양한 혜택을 줘 전북과의 유대를 강화하고 이른바 ‘생활인구’를 늘려 지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구상이다. 2027년까지 30만명의 ‘전북프렌즈’를 확보하는 게 목표다.

행정안전부는 2023년 시행한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을 통해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주민등록인구·외국인등록인구)뿐 아니라 체류하는 사람도 포함하는 생활인구 개념을 도입했다. 체류인구는 통근·통학·관광·업무·정기적 교류 등을 목적으로 지역을 월 1회 이상 방문하는 사람을 말한다. 전북 인구는 2019년 3월 심리적 방어선인 180만명이 무너졌다. 현재는 173만명(3월 말 기준)이다.

'2036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국내 후보 도시로 선정된 전북특별자치도가 추진 중인 전북사랑도민증(가칭 전북프렌즈) 발급 사이트 캡처.


전북도 “올림픽 유치 관심 유도”

이에 전북도는 달라진 생활 방식과 늘어난 이동성을 반영한 생활인구 정책에 주목해 ‘전북프렌즈’ 프로젝트를 고안했다. 전북 외에 거주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관련 사이트(lovecard.jb.go.kr)를 통해 전북프렌즈로 가입, 전북사랑도민증과 투어패스(여행객을 위한 시간제 자유 이용권) 1일권을 받고 도내 관광지·맛집·숙박업소 등 가맹점에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전북도와 14개 시·군이 운영하는 온·오프라인 직거래장터 할인 쿠폰도 받는다. 도민증 발급 비용은 무료다. 전북도는 각 시·군과 협력해 현재 68개인 할인 가맹점을 연말까지 300곳, 2027년까지 500곳까지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전북도는 기존 과장 주재 2개 팀 체계를 국장이 주재하는 ‘전북사랑도민증 가입 TF’로 격상했다. 전북도 관련 부서와 14개 시·군, 전북도민회중앙회·전북애향운동본부까지 참여하는 범도민 협업 체계로 확대 구성·운영할 방침이다.

전북도는 전북프렌즈 유치 운동이 확산하면 도내 농·축·수산물 소비와 고향사랑기부 참여도 활기를 띨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21년 제정된 고향사랑기부제는 개인이 1인당 연간 2000만원 한도 내에서 본인 주소지 외 고향 또는 지자체에 기부하면 세액 공제와 함께 기부금액 30% 이내에서 답례품을 받는 제도다. 백경태 전북도 대외국제소통국장은 “전북프렌즈 유치 운동은 전북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면서 관계·생활인구를 확충하는 정책”이라며 “특히 ‘2036 하계올림픽’ 유치라는 큰 목표 아래 전국적 관심과 교류를 유도할 수 있는 교두보가 될 것”이라고 했다.



김준희([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