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젊다! 젊어!' PSG, 이강인 잡는다... 경기 출전 여부는 확정 지을 수 없는(프랑스 현지매체)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4/20/202504191905773020_6803764d94307.jpg)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OSEN=우충원 기자] 파리 생제르맹(PSG)이 이강인과의 계약 연장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출전 시간이 줄어들며 팀 내 입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PSG는 이강인의 잠재력을 여전히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 매체 르10스포르트는 19일(이하 한국시간) "PSG가 이강인과의 재계약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강인의 기회가 이전보다 줄어들고 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의외의 결정처럼 보일 수 있으나 이는 구단의 중장기적인 구상에서 큰 변화를 주지 않겠다는 의지를 나타낸다.
이강인은 지난 16일 영국 버밍엄 빌라 파크에서 열린 2024-2025시즌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8강 2차전 아스톤 빌라와의 원정 경기에 결장했다. PSG는 해당 경기에서 2-3으로 패했지만, 1차전에서 3-1로 승리를 거둬 합산 스코어 5-4로 준결승에 진출했다.
비록 팀은 4강 진출에 성공했으나 이강인이 출전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부 팬들은 아쉬움을 느꼈다. 시즌 내 가장 중요한 경기 중 하나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는 이강인의 현재 구단 내 위치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면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재계약 추진 보도가 나온 것은 구단이 이강인에게 보내는 신뢰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의미로 읽힌다. 르10스포르트에 따르면 PSG는 이번 시즌 종료 전부터 장기적인 전력 구성을 시작했으며 이강인을 비롯한 주요 선수들과의 재계약을 계획하고 있다.
현재까지 PSG는 아크라프 하키미, 누누 멘데스, 비티냐와의 재계약을 이미 마무리한 상태다. 이어 잔루이지 돈나룸마, 브래들리 바르콜라 그리고 이강인을 다음 재계약 대상자로 설정하고 협상 절차에 돌입할 계획이다. 이강인은 현재 2028년까지 계약이 남아 있으나, 구단은 조기 연장을 통해 안정적인 전력 확보에 나서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PSG는 이강인과 바르콜라를 구단의 장기적인 핵심 자원으로 보고 있으며, 아직 계약이 유효함에도 불구하고 이른 시점에 연장 협상을 시작하려는 배경에는 주요 자산을 사전에 보호하려는 전략이 담겨 있다.
PSG는 UEFA의 재정적 페어플레이 규정에 따라 운영의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도, 유망주들과의 장기 계약을 중시하는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구단 내부적으로 이강인을 비롯한 젊은 선수들에게 거는 기대가 결코 작지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편, 골키퍼 돈나룸마는 이미 연장 협상이 상당 부분 진행 중이다. 그의 에이전트는 최근 현지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여름부터 PSG와 계약 연장 관련 논의를 이어오고 있다"며 "복잡한 요소들이 있으나 긍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강인은 최근 몇몇 경기에서 선발 또는 교체 명단에서 제외되는 등 출전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이에 따라 그의 현재 입지에 대한 평가도 이전보다 낮아졌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그럼에도 PSG가 재계약 추진에 나섰다는 점은 이강인의 기술적인 능력뿐 아니라 전술적인 활용 가능성 역시 여전히 구단의 고려 대상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PSG는 감독 교체와 선수단 개편을 수차례 겪어왔 왔지만 젊고 재능 있는 선수들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기조를 유지해왔다. 이강인과의 계약 연장 역시 이러한 전략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르10스포르트는 "PSG는 유망한 선수들을 장기적으로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며 "현재 출전 여부와 관계없이 핵심 자원의 장기적인 안정을 도모하려는 움직임이 계속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강인의 현재 출전 빈도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나, PSG가 그와의 재계약을 추진 중이라는 사실은 그가 여전히 미래 구상에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이번 협상과 향후 기용 방향에 따라 이강인의 입지는 다시 변화할 가능성이 있으며, 그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 [email protected]
우충원([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