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캄보디아 운하 사업에 1조7천억원 자금지원 계약
수도서 타이만까지 수로로 연결…중국 군함 이동로·메콩강 수량 감소 우려
수도서 타이만까지 수로로 연결…중국 군함 이동로·메콩강 수량 감소 우려
(자카르타=연합뉴스) 박의래 특파원 = 중국이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타이만 연안 항구까지 연결하는 운하 건설 사업에 12억 달러(약 1조7천억원)를 투자하기로 했다.
19일 AP 통신 등에 따르면 전날 캄보디아 정부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캄보디아 방문 중 '푸난 테코 운하'에 대한 자금 지원 계약이 체결됐다고 밝혔다.
캄보디아 정부는 "최대 3천 재화중량톤(DWT·선박 자체 무게를 제외한 순수한 화물 적재 용량) 선박의 운항이 가능한 내륙·해상 수로를 새롭게 열게 될 것"이라며 이번 계약에 운하 굴착뿐 아니라 선박 통과용 갑문과 항해·물류 인프라 건설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운하 건설의 시공을 맡은 중국도로교량공사(CRBC)의 모회사 중국교통건설공사(CCCC) 회장 왕 퉁저우는 "이 프로젝트는 캄보디아의 중요한 내륙 수로이자 핵심 교통 인프라로 국가 경제 성장의 새로운 엔진이 될 것"이라며 "완공 후에는 물류비를 대폭 줄이고 캄보디아 산업이 중·고부가가치 단계로 도약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푸난 테코 운하는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남부 케프성 타이만 바다까지 약 180㎞ 길이를 메콩강 지류를 이용해 물길로 잇는 것으로 캄보디아의 숙원 사업이다.
캄보디아 국내총생산(GDP)의 약 4%에 해당하는 17억 달러(약 2조4천억원)가량의 비용이 드는 대공사로, 지난해 8월 착공했지만, 지금은 자금난 등으로 중단된 상태다.
이 운하를 놓고 베트남은 메콩강 수량이 급감해 건기에는 물 부족, 우기에는 홍수가 발생할 것을 우려하고 있으며 환경 보호론자들은 수량 변화로 생물학적 다양성이 훼손될 수 있다고 반대한다.
무엇보다 베트남과 미국은 캄보디아 대운하가 중국 군함 이동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하지만 훈 마넷 캄보디아 총리는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이 운하는 반드시 건설될 것이고, 이는 국가적 위상과 영토 보전, 캄보디아의 발전을 위한 것"이라며 운하 건설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번 계약은 공공·민간 파트너십(PPP) 형태로 캄보디아 투자자가 지분의 51%, 중국 투자자가 49%를 보유하게 된다. CRBC가 건설해 40∼50년간 운영하다가 캄보디아 정부에 돌려주는 건설·운영·양도(BOT) 방식이다.
캄보디아 정부는 이번 운하 건설로 직·간접적으로 최대 5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박의래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