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 산불 기존 발표 보다 2.2배…피해면적 10만4000ha 달해

━
경북 9만9289㏊ 피해 면적 가장 넓어
박은식 삼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18일 정부대전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번 대형산불 피해면적이 10만4000㏊에 달하는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역별 잠정 산림 피해 면적은 경북 9만9289㏊(의성 2만8853㏊, 안동 2만6709㏊, 청송 2만655㏊, 영양 6864㏊, 영덕 1만6208㏊), 경남 3397㏊(산청 2403㏊, 하동 994㏊), 울산(울주) 1190㏊ 등이다. 이는 산림청이 산불 진화 직후 파악했던 산불 영향구역 4만5157㏊보다 2.2배 큰 면적이다.
박 국장은 “대형산불 피해면적이 산불영향구역과 큰 차이를 보인 건 강풍으로 불이 빠르게 지나가면서 꺼진 지역의 화선이 존재하지 않은 데다 심한 연무 등으로 화선 파악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7일 오전 산불피해 지역인 경북 영덕군 달산면 산이 온통 검은색으로 변해 있다. [뉴스1]](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4/18/878cfb41-c666-48d1-ba95-8012e27ac032.jpg)
━
2차 피해 우려 4207곳 긴급 진단 완료
한편 이번 산불 피해조사는 각 지자체가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8일까지 1차 조사를 시행했다. 이후 중앙재난피해합동조사단이 지자체와 함께 2차 현장확인을 지난 9일부터 15일까지 했다. 이번 산불의 경우 비화 등 산불의 빠른 확산과 산불 진화 이후 열로 인한 추가 고사 등으로 피해면적이 증가했다는 게 산림청의 설명이다.
이번 산불의 최종 피해 면적은 추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서 확정된다. 산림청은 영남권 산불 이후 산사태와 토사 유출 등으로 인한 2차 피해 우려 지역 4207곳에 대해 지난달 28일부터 지난 11일까지 긴급 진단을 마쳤다. 조사된 지역에 대해선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응급복구가 진행 중이다.
![산불 발생에 따른 진화·피해조사·복구 추진 절차도. [지료 산림청]](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4/18/e0c25f08-927e-4a0f-949b-fcef682a77ee.jpg)
━
“피해 주민 일상 복귀 도울 것”
산불피해지의 체계적ㆍ합리적 복구를 위해 피해 주민과 산주는 물론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는 중앙ㆍ지역 단위의 ‘산불피해지 복원추진 협의회’도 구성해 운영한다. 안전ㆍ환경ㆍ생태뿐 아니라 지역경제 회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과학적 의사결정을 통해 ‘산불피해지 복구ㆍ복원 기본계획’도 수립한다.
박 국장은 “이번 산불은 규모가 큰 만큼 피해지의 응급복구가 시급하다”며 “지역주민과 산주, 임업인 등 이번 산불로 피해를 본 국민이 하루빨리 피해를 복구하고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진호.김방현([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