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아지매들 “내는 새건물 못드간다”…자갈치시장도 ‘노량진 사태’ 우려

부산시가 자갈치시장 노점 정비를 위해 새 건물을 지었지만 상인은 설비 등 문제를 들어 입주를 거부하고 있다. 사진은 시장 모습. 송봉근 기자
부산 자갈치 시장의 불법 노점(露店)을 정리해 현대식 건물로 옮기는 정비 사업이 암초를 만났다. 수백억원을 들여 건물을 지었지만, 대다수 상인이 시설 미비 등을 문제 삼아 입주를 거부하면서다. 자칫하면 새 건물 입주 거부에 따라 소송전과 물리적 충돌까지 이어진 서울 노량진수산시장 전철을 밟을 거란 걱정도 나온다.

17일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 중구 남포동 자갈치아지매시장 신축 건물(1동 면적 2441㎡·2동 면적 1827㎡, 각 3층) 입주 절차가 무기한 연기됐다. 본래 노점상인 215명의 신청을 받아 지난 16일 입점 구역을 추첨하려 했지만, 2명만 신청하며 추첨이 이뤄지지 못했다.

이들 노점 상인 200여명은 자갈치시장 노상 약 300m 구간에서 수십년간 영업했다. 노점상인 만큼 엄밀히는 불법이다. 식품 위생이나 안전성 등 문제가 꾸준히 지적됐고, 차도 확장을 포함한 자갈치시장 현대화 정비에도 지장을 줬다.

이에 부산시는 기존 노점을 비우는 대신 이들이 입주할 수 있는 새 건물을 짓기로 합의하고 235억원을 들여 지난해까지 2개 동을 모두 완공했다. 하지만 오는 6월 새 건물 개장을 목표로 입주를 진행하면서 상인과 부산시 갈등이 본격화했다.

부산시와 상인회 말을 종합하면 주요 쟁점은 ▶건물 사용료 부담(한달 19만~46만원) ▶해수관의 약한 수압 ▶화장실 부족 ▶건물 내 화물 엘리베이터 미비 등 4가지다. 특히 사용료의 경우 같은 면적의 점포를 쓰더라도 준공업 지역인 1동보다 상업 지역인 2동 점포의 비용이 1.9배 높아 상인 불만이 크다. 이 갈등 해법을 찾지 못하면 서울 노량진수산시장 현대화 사례처럼 법정 다툼이나 강제집행(행정대집행)에 따른 물리적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다만 부산시는 “행정대집행 등 강제적 수단은 검토하지 않는다. 시설 보강 등 해법을 찾아 입주 절차를 다시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민주([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