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에선 장애‧비장애 드러나지 않아…즐거운 연주 선보일 것”
지난 16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 원천동 아이엠센터에 있는 가온 솔로이스츠(이하 가온) 연습실은 피아노, 클라리넷 등의 악기 소리로 가득 찼다. 얼마 남지 않은 공연을 앞두고 가온 멤버들의 연습이 한창이었다. 가온은 장애·비장애 음악가들이 함께 연주하는 통합 실내악 연주단체다. 피아노 반주를 한 강자연(46) 가온 대표는 “지난해 공연 주제가 '영혼의 노래'여서인지 너무 슬펐다는 반응이 있었다”며 “올해는 좀 더 즐겁고 자연스러운 모습을 보여주려 한다”고 말했다.
가온은 오는 20일 서울 예술의전당 IBK기업은행 챔버홀에서 제5회 정기연주회 ‘Melody of Bliss: 기쁨의 노래’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에선 장애인 연주자 15명과 비장애인 연주자 7명이 어우러져 합을 맞춘다.
지난 2021년 창단 당시부터 이 단체에 몸담은 강 대표는 다섯 번째 정기 연주회를 앞두고 “이렇게 오래갈 줄 몰랐다”며 웃었다. 현재 가온 음악 감독을 맡고 있는 김유영 비올리스트의 오랜 제자이면서 중증 자폐가 있는 연주자를 만나게 된 것이 시작이었다. 강 대표의 딸도 뇌병변을 앓았기에 공감하며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연주를 같이 해보기로 했다. 이 공연에 관객들의 호응이 좋았다.

쉬운 길은 아니다. 오는 20일 무대를 위해 3개월간 준비했는데 “시간이 생각보다 20배는 더 걸리는 것 같다”고 강 대표는 말했다. 피아노, 바이올린은 물론 첼로·클라리넷·플루트 등 여러 악기를 시각·청각·자폐 등 다양한 장애 스펙트럼을 가진 연주자들이 다루는 만큼, 호흡을 맞추는 시간이 더 소요될 수밖에 없다. 시각 장애인의 경우 악보를 통째로 외워야 하는 어려움도 있다.
무대 상황도 예측불허다. 공연 전후 무대 입·퇴장 절차도 이들에겐 ‘도전’이다. 강 대표는 “공연 전까지 최선을 다해 준비하겠지만, 당일 벌어질 일에 대해선 신경 쓰지 않으려 한다”고 했다.
그럼에도 무대 경험이 쌓이며 많은 성장을 해왔다는 게 강 대표의 설명. “무대에 5명이 올라간다고 하면 처음엔 1명만 장애 연주자를 올렸는데, 지금은 반대로 1명만 비장애 연주자를 올려도 충분히 연주가 된다. 무대에서 사인을 주고 연주를 리드하는 역할을 장애인 연주자가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는 의미다.”

최근 공연이 끝나면 관객들로부터 꼭 나오는 질문이 있다고 한다. “연주자 중에 누가 장애인인가요?” 강 대표는 “장애, 비장애가 공연에서 드러나지 않는 게 저희의 목표”라며 “누구나 어느 면에서 장애의 경계에 서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숙명여대 반주과 초빙교수이자 서울대에도 출강하고 있다. 가온 감독 업무와 병행하자면 시간을 쪼개 써야 하는 상황. 하지만 무대 욕심은 끝이 없다. 강 대표는 “올해 가을 공연에는 클래식을 기반으로 하면서 스토리가 들어간 공연을 하고 싶다”며 “향후엔 뮤지컬 등의 여러 장르를 오갈 수 있을 것 같다”라고 설명했다.
가온의 미래에 대한 청사진도 그리고 있다. 강 대표는 “가온이 멤버들의 든든한 생활의 터전이자 직장으로 자리매김토록 하는 것이 큰 바람”이라고 전했다.
HS효성그룹이 후원하는 이번 연주회에는 2018년 평창 동계 패럴림픽 폐회식 무대에 섰던 청각 장애인 무용수 고아라도 무대에 오른다.
하남현([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