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세계상품무역 전망 하향한 WTO…3% 증가→0.2% 감소

16일(이하 현지시각) WTO는 올해 세계 상품무역이 0.2%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지난해 10월 전망치(3.0% 증가)보다 3.2%포인트 내린 수치다. 미국 정부가 최근까지 주요 교역국들에 관세를 부과하고, 특히 중국과는 서로 보복을 거듭하며 일부 품목의 관세율이 100%를 넘었기 때문이다. 이를 두고 WTO는 “최근 무역정책 변화는 전례 없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WTO는 “트럼프 미 대통령이 현재 일시 유예한 상호관세를 전면 재도입할 경우 세계 상품 무역 성장률은 0.6%포인트 추가 하락하고, 그에 따른 파급 효과로 또 추가로 0.8%포인트 감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최악의 경우 -1.5%(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한 수치)까지 떨어진다는 게 WTO의 시나리오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벌어졌던 2020년 이후 가장 큰 낙폭이다.
WTO는 수출의 경우 북미(미국·멕시코·캐나다) 지역만 규모가 축소할 것으로 봤다. 수출 성장률 전망치를 2.9%에서 ‘-12.6%’로 내렸는데, 트럼프 미 대통령이 불을 붙인 관세 폭탄이 부메랑을 맞는 모양새다. WTO는 아시아(4.7%→1.6%)와 유럽(1.8%→1.0%)도 전망치를 낮추긴 했지만, ‘플러스’는 유지할 거라고 예상했다.
중국을 두고 WTO는 “대미 수출이 직물·의류·전자기기 등을 중심으로 급감하겠지만, 다른 지역으로 수출은 4~9% 증가가 예상된다”고 했다. 중국이 수출을 늘릴 제3국에선 한국 등 경쟁국과의 수출 경쟁이 심화할 전망이다. 다만 미국 시장에선 중국의 빈자리가 생기면서 이를 메울 수 있는 국가들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WTO는 세계 무역 긴장이 상품 무역을 넘어 서비스 무역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올해 세계 상업 서비스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5.1%에서 4%로 하향 조정했다.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 WTO 사무총장은 “세계 1·2위 경제대국인 미국과 중국의 디커플링(공급망 등 분리)이 가장 큰 우려”라며 “세계 경제의 지정학적 분열을 초래해 양극화된 두 블록으로 세계가 쪼개지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관세 전쟁이 장기적으로 세계 경제에 7%의 역성장 효과를 낼 것”이라고 했다.
이날 세계은행(WB)도 경고음을 냈다. 아제이 방가 총재는 “관세 인상은 투명성과 성장세 하락으로 귀결되는 갈등을 만든다”며 "수개월 전보다 글로벌 경제 성장을 둔화시키는 것으로 귀결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민중([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