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美 245% 관세 부과에 "터무니 없다" 대응 않겠다는 中

중국 외교부 대변인 린젠. 로이터=연합뉴스
중국 외교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백악관 홈페이지를 통해 밝힌 '최대 245% 대중(對中) 관세율'에 대해 별도로 대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자국 홈페이지에 기자와의 문답 형식으로 입장문을 올리고 "245%라는 숫자가 어떻게 나온 것인지는 당신들(기자들)이 미국에 물어야 한다"며 "중국은 앞서 미국이 중국에 대해 차례로 터무니없이 높은 관세를 부과한 것은 이미 숫자놀음이 됐고, 경제적으로는 실제 의미가 없다고 강조한 바 있다"고 말했다.

또 "관세 전쟁·무역 전쟁에는 승자가 없고, 중국은 싸움을 원치 않지만 그렇다고 싸움을 두려워하지도 않는다"며 "만약 미국이 계속해서 관세 숫자놀음을 한다 해도 무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미국이 고집스레 중국의 권익을 실질적으로 계속 침해한다면 중국은 단호히 반격하고 끝까지 맞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백악관은 15일 홈페이지에 올린 팩트시트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2일 '해방의 날'을 맞아 모든 국가에 관세를 부과한 뒤, 75개국 이상이 미국과의 새로운 무역 협정을 논의하기 위해 연락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 개별적으로 부과된 고율 관세는 중단(유예)됐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보복 행동의 결과, 이제 최대 245%의 미국 수입품(중국의 대미 수출품) 관세에 직면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월 중국산 수입품에 10% 보편관세를 추가로 부과한 것을 시작으로, 3월에는 다시 10%를 더했고, 이달에는 고율의 상호관세까지 덧붙였다.

백악관은 이후 지난 10일,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된 누적 관세율이 총 145%라고 밝혔으나, 닷새 뒤 홈페이지에 게재된 자료에는 이보다 100% 높은 수치가 명시됐다.

백악관이 '245%' 수치에 대해 별다른 해명을 내놓지 않은 가운데,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 2기 출범 이전에 이미 부과된 중국산 수입품 관세를 포함한 총관세율을 지칭한 것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바이든 행정부에서 100% 관세가 적용된 후, 트럼프 행정부에서 145%가 추가돼 총 245% 관세가 부과된 중국산 주사기가 언급됐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전날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된 개별 상품에 대한 각종 명목의 누적 관세율이 245%에 달했다는 점에 주목했다"며 "이는 미국이 관세를 도구화·무기화하는 것이 이미 전혀 이성이 없는 지경에 이르렀음을 충분히 보여주는 것으로, 중국은 이런 의미 없는 숫자놀음을 무시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중국 국무원은 11일 미국산 수입품 관세를 84%에서 125%로 높이는 조정안을 발표하면서 "앞으로 미국이 관세를 아무리 높게 인상하더라도 경제적 의미는 이제 없고, 세계 경제사에서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며 "미국이 관세로 숫자놀음을 계속한다 해도 이제 무시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중국 매체 뉴탄친은 "미국이 계속해서 관세를 더 높이고 있는데 이것은 진짜 숫자놀음"이라며 "당연히 중국에도 할 말이 있지만 우리는 무시할 것"이라고 했다.

매체는 "이것은 '그레이트 게임'이고, 복(福)이든 재앙(禍)이든 피할 수 없는 것"이라며 "이것이 중국이 발전하는 과정에 맞닥뜨려야 할 재난이라면, 우리는 용감하게 맞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해준([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