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 인상 당분간 없다”…현대차, 미국서 버티기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왼쪽 넷째) 등 임원들이 1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에 위치한 ‘제네시스하우스 뉴욕’에서 전동화 오프로더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SUV) ‘엑스 그란 이퀘이터 콘셉트’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현대차]](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4/17/6d391ed9-426c-44b3-9d30-9d0c36ea39cd.jpg)
미국 리서치기업 앤더슨이코노믹그룹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관세로 인해 미국 내 수입 고급차는 2만 달러, 저가 차량은 2500~4500달러 인상될 수 있다. 하지만 지난 4일 현대차·기아 미국법인은 “6월 2일까지 차량 가격을 동결하겠다”고 밝혔다. 저가 차종일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높아 가격이 소폭 올라도 판매가 급감할 수 있어서다.
이는 현대차·기아가 미국에서 판매하는 차종 상당수가 3만 달러 이하 저가 모델인 점과 관련이 깊다. 한국에서 수출되는 아반떼(미국 판매명 엘란트라)는 지난해 13만6698대가 팔렸는데 현지 판매가는 2만1000달러부터 시작한다.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기아 소형 세단 K3(13만9779대)도 기본 트림은 2만 달러다. 현대 쏘나타(6만9343대), 기아 셀토스(5만9958대) 등 미국에서 잘 팔리는 한국산 차종 역시 2만 달러 중후반대다.
권용주 국민대 자동차운송디자인학과 교수는 “현대차·기아가 저가 차량 가격을 올리면 미국 소비자는 대체재인 토요타 캠리, 코롤라 등으로 갈아탈 것”이라며 “캠리 등은 미국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현대차·기아보다 관세에 따른 가격 인상 유인이 적다. 현대차·기아의 가격 동결은 토요타를 의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토요타는 지난해 미국 시장에서 233만2623대를 판매해 2위, 현대차·기아는 170만8293대를 팔아 4위였다. 현대차·기아로선 픽업트럭 등 대형차 위주로 판매하는 제너럴모터스(GM), 포드 등보다 토요타와 더 직접적으로 경쟁한다. 토요타도 현대차처럼 관세에 대응해 미국 생산을 늘린다. 토요타의 지난해 미국 생산 차량 127만대 중 14만대였던 전기차 생산량을 2027년까지 100만대로 늘리기로 했다. 현대차·기아 역시 2028년까지 210억 달러(약 31조원)를 투자해 연산 120만대까지 생산능력을 확대할 예정이라, 두 회사의 각축전이 심화할 수 있다. 조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 관세에 따라 미국 자동차 시장이 단기 조정 국면에 들어갈 것”이라며 “일부 업체는 미국 판매량을 줄이고 있기 때문에 현대차·기아가 반대 급부를 얻을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김효성([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