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의대 증원 동결에도…일부 의대생들 "복귀 명분 안돼"

16일 의료계에 따르면 이날 오후 의대 3곳은 합동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방침을 공유했다. 이 학교 학생회장 3명은 파워포인트(PPT) 약 20장 분량의 문건을 통해 향후 투쟁 방향 등을 설명했다고 한다.
문건에 따르면 이들은 정부가 제시한 '3058명 동결'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대협회)가 제안한 '5.5년제' 교육과정 단축안에 대해 "집중해야 할 의제가 아니다"라며 "의대생 복귀 여부와 시행 여부는 상관관계가 낮다"고 선을 그었다. 모집인원 동결 등으로는 복귀 명분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이다.
휴학 투쟁 이유에 대해선 "존재감을 드러내기 위해서"라고 했고, 미등록·미복학의 배경은 "단일대오 유지를 위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최근까지 벌인 수업 거부에 대해선 "중요한 것은 전국 의대생이 모두 한 자리에서 같은 목소리를 내는 것"이라며 단일대오를 강조했다. 유급 위기와 관련해서는 "대학이나 수련병원 입장에선 인력 공백이 1년 추가된다"며 교육부에 책임이 있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정치권에 대해선 "당선 직후 허니문 기간에 의·정 갈등이라는 부담을 바라는 후보는 없다"며 유급이 실제로 단행되지는 않을 것이란 식의 전망도 했다.
김택우 대한의사협회(의협) 회장에 대해선 "전공의·학생 목소리를 최대한 반영하려고 하지만 교수·개원의·시도의사회 압박을 무시하긴 어렵다"고 분석했다. 의협 구성원인 교수·개원의·시도의사회에 대해선 "대선 캠프를 위해 조기 종료를 원한다"고 해석했다.
이들은 의대생들의 복귀를 위해 노력해온 의대 학장 단체 KAMC에 대해선 "지난 3월 제적 협박을 주도했다"며 "교육자라기보다는 이권 카르텔에 가깝다"고 강하게 비난했다. 이어 "제적 협박에 따른 등록 전환으로 이득을 취했고, 등록된 뒤엔 제주도 호화호텔을 예약해 축하파티까지 진행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적절한 시점이 올 때까지 준비해야 한다"며 "(대선 국면인) 현재로썬 누구와도 대화를 시작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대관 업무를 통해 추후 대화 상대를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해당 설명회 내용을 접한 의료계의 한 관계자는 "'너희가 더 버텨라. 버티면 정부가 못 견디고 무너질 테니 참아라'를 길게 설명한 자리였다"며 "무작정 버틴다고 투쟁에서 무엇을 얻어낼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우려했다.
의대생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해당 문건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선우 의대협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학생회장들이 간담회 하는 일은 비일비재하다"라며 "간담회 내용은 의대협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채혜선.이후연([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