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이직열풍·희망퇴직에도 100대 기업 근속연수 늘었다, 왜

서울 서초구 양재동 기아자동차 사옥. 사진 기아

최근 재계에서 20·30세대 이직이 활발하고 불황으로 인한 희망퇴직이 많지만, 국내 100대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는 오히려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성 직원의 근속연수가 늘며 상승세를 이끌었다. 대기업이 육아 관련 복지를 늘리며 여성의 경력단절이 과거보다 줄어드는 것으로 풀이된다.

16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에 따르면 매출액 상위 100개 기업 중 최근 5년간 직원 근속연수를 공시한 80곳을 조사한 결과, 지난해 평균 근속연수는 14.03년으로 2020년 대비 0.48년 늘었다. CEO스코어는 이번 조사에서 사업 부문별 또는 성별 평균 근속연수와 해당 직원 수를 곱한 뒤 이를 총 직원 수로 나눠 ‘1인당 평균 근속연수’를 산출했다고 설명했다.

이들 기업의 평균 근속연수는 2020년 13.55년→2021년 13.7년→2022년 13.63년→2023년 13.91년으로 완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한영재 CEO스코어 선임연구원은 “젊은 세대의 이직이 잦더라도 근속연수가 높은 40·50세대는 계속 근무하다 보니 평균 근속연수가 소폭 오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여성 직원의 근속연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여성 직원들의 평균 근속연수는 2020년 11.38년에서 지난해 12.94년으로 1.56년 증가한 반면, 남성은 같은 기간 14.29년에서 14.41년으로 0.12년 늘어나는 데 그쳤다. 이에 따라 남녀 근속연수 격차는 2020년 2.91년에서 지난해 1.47년으로 좁혀졌다.

기업별로 보면 지난해 근속연수 1위는 21.8년을 기록한 기아였다. 이어 KT(20.5년), SK인천석유화학(20년), 한국씨티은행(18.84년), SK에너지(18.68년), 한온시스템(18.64년), 대한항공(18.4년) 등의 순으로 근무 기간이 길었다.

근속연수가 가장 짧은 곳은 두산밥캣(3.2년)이었다. 이어 미래에셋캐피탈(4.2년), HD현대중공업(4.3년), 키움증권(6.58년), 다우기술(6.88년), GS리테일(7.2년), 네이버(7.4년) 등의 순이었다. 다만 HD현대중공업의 경우 분할 설립일인 2019년 6월을 기준으로 공시돼 근속연수가 비교적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수 증가 폭이 가장 큰 곳은 SK네트웍스로, 2020년 9.05년에서 지난해 13.92년으로 4.87년 늘었다. 반면 현대차는 같은 기간 근속연수가 18.8년에서 15.8년으로 3년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다. 현대차 관계자는 “2020년보다 지난해 전체 직원 수가 늘었는데, 정년퇴직은 매년 있고 신규 채용을 꾸준히 하다 보니 평균 근속연수가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선을([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