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그 드라마 뭐였지?"...KT의 AI 에이전트가 콘텐트 찾아준다

KT가 ‘KT 미디어 뉴웨이’ 전략을 공개했다. 미디어 부문에 인공지능(AI)의 활용을 넓히는 게 골자다.

16일 KT 미디어부문장 김채희 전무가 'KT그룹 미디어토크'에서 'KT 미디어 뉴웨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 KT

16일 서울 강남구 안다즈 서울강남 호텔에서 열린 'KT그룹 미디어토크'에서 KT는 이같은 전략을 소개했다.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상반기부터 IPTV 서비스인 지니TV에 미디어 AI 에이전트를 단계적으로 탑재한다. 예컨대 “ENA 채널에서 방영한 군대 배경의 유쾌한 드라마가 뭐였지?”라고 물으면 AI 에이전트가 지니 TV 오리지널 ‘신병’을 찾아 바로 시청 가능한 VOD로 연결해 주는 식이다. KT는 이 AI 에이전트를 KT스카이라이프, KT HCN 등 그룹사로 확대시켜 1400만 고객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홈쇼핑 방송에 특화된 AI 서비스도 내놓을 예정이다.

콘텐트 제작 및 유통과정 전반에도 AI 기술을 도입한다. 콘텐트 AI 전환(AX) 전문 조직 ‘AI 스튜디오 랩’을 신설한다. AI 스튜디오 랩은 AI 보조작가, AI 스토리보드 등 기획, AI 기반 제작·편집, AI 숏폼·PPL 등 마케팅·유통 등 콘텐트 사업 전 과정에 AI 기술을 적용한다.

이와 함께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채널(FAST), 숏폼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도 도입된다. 상반기 중 FAST 서비스를 지니 TV를 통해 시범 운영하고, 성과에 따라 글로벌 진출을 검토할 예정이다. 숏폼 콘텐트 시장 진출도 본격화한다. KT는 KT스튜디오지니를 ‘숏폼 전문 스튜디오’로 재편해 AI 기반 숏폼 제작 인프라를 구축한다. 현재 국내외 주요 플랫폼과 약 20편의 공동제작을 협의 중이다.

한편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티빙과 웨이브 합병에 대한 취재진 질문에 김채희 KT 미디어부문장은 “웨이브는 지상파 콘텐트에 대한 독점력이 떨어지는데, 이런 상황에서 합병을 통해 추구하고자 하는 성장의 방향성이 티빙의 주주 가치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의문이 있다”고 말했다. 김 전무는 “KT 입장에서 티빙에 대한 투자는 단순 재무적 투자가 아닌, 미디어 사업 전반에 거쳐 강력한 사업적 시너지를 고려해 전략적 투자자로서 제휴를 맺었던 상황”이라며 “당시 사업적 협력에 대한 의지나 가치가 지금은 많이 훼손된 것 같다”고 말했다.





김남영([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