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美특사 "3.67% 이상 불가"…이란핵 전면폐기 아닌 농축제한 언급

위트코프, '트럼프 일방탈퇴' 옛 핵합의와 같은 농축률 거론하며 "미사일도 검증"

美특사 "3.67% 이상 불가"…이란핵 전면폐기 아닌 농축제한 언급
위트코프, '트럼프 일방탈퇴' 옛 핵합의와 같은 농축률 거론하며 "미사일도 검증"

(워싱턴=연합뉴스) 강병철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핵시설에 대한 공격 가능성까지 거론하면서 이란에 핵 협상을 압박하는 가운데 트럼프 정부가 이란의 핵 프로그램 전면 폐기가 아닌 우라늄 농축 제한을 협상 목표로 제시했다.
스티브 위트코프 미국 중동 특사는 15일(현지시간)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이란과의 대화는 2개의 핵심포인트에 대한 것"이라면서 "하나는 농축에 대한 것으로, 그들은 3.67%를 넘겨 (우라늄을) 농축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이어 "그들은 어떤 환경에서는 (농축율이) 60%이며 다른 때는 20%이지만 그것은 있을 수 없다"라면서 "그들의 주장하는 대로 (민간용이면) 3.67%를 초과해 농축하는 민간 핵 프로그램을 운용할 필요가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협상의 두 번째 포인트에 대해 "농축프로그램과 무기화에 대한 검증"이라면서 "여기에는 그들이 비축하고 있는 미사일, 폭탄 기폭 장치 등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위트코프의 특사가 언급한 농축률 3.67%는 트럼프 대통령이 1기 때 폐기했던 오바마 정부 주도의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상의 농축 제한과 같다.
2015년 미국을 비롯한 안보리 상임이사국 5개국과 독일(P5+1)이 이란과 타결한 JCPOA는 우라늄 농축 제한 등 핵 활동을 제한하고 그 반대급부로 이란에 대한 제재를 해제하는 것이 골자다.
이란이 의무 사항을 지키지 않을 경우 제재를 다시 복원하는 이른바 '스냅백'(snapback) 조항이 포함돼 있다.
이란은 트럼프 대통령의 JCPOA 파기 이후 우라늄 농축률을 높이기 시작했다.
이는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를 비롯해 이스라엘의 강경파가 추구하는 이른바 '리비아식 합의'와는 거리가 있다.
리비아식 비핵화 모델은 핵 개발에 필요한 물질과 장비, 자료 등을 넘기고 비핵화 검증 뒤 보상하는 방식이다.
네타냐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다음 날인 지난 8일 영상 성명을 통해 "우리는 이란이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에 동의한다"며 "이는 리비아 방식 합의를 통해야만 한다"고 거듭 말했다.
그는 리비아 방식과 관련, "미국의 감독과 실행으로 모든 시설을 폭파하고 모든 장비를 해체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에 대해 "핵무기를 절대 가질 수 없다"는 점을 반복하면서 핵 협상을 강도 높게 압박하고 있다.
그는 전날에도 이란의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택지에 이란의 핵시설에 대한 군사적 타격도 포함되는지를 묻는 말에 "물론 그렇다"라면서 "만약 우리가 뭔가 거칠게 해야 한다면 우리는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인 협상 목표를 공개적으로 언급한 바는 없다.
위트코프 특사 등 미측 대표단은 지난 12일 오만에서 이란 측과 만났으며 19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다시 만날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강병철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