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정부, '트럼프 정책'에 맞선 하버드대에 보조금 3조원 동결
하버드대 'DEI 폐지·입학규정 변경' 등 반대 몇시간만에 위협 실행
하버드대 'DEI 폐지·입학규정 변경' 등 반대 몇시간만에 위협 실행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캠퍼스 내 반유대주의 근절 압박 등의 정부 요구에 따르지 않겠다고 밝힌 하버드대에 22억달러(약 3조1천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동결한다고 14일(현지시간) 밝혔다.
미 정부 내 '반유대주의 근절을 위한 합동 태스크포스'는 이날 성명에서 트럼프 정부는 하버드대에 수년간에 걸친 보조금 22억달러와 계약 6천만달러(약 854억원)를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하버드대가 대학 독립성이나 헌법상 보장된 권리를 두고 협상하지 않겠다고 발표한 지 몇시간 만에 나온 조치다.
태스크포스는 "하버드대의 오늘 성명은 우리나라의 최고 명문 대학에 만연한 문제적인 권리 의식, 즉 연방 정부 투자에는 시민권법을 준수할 책임이 따르지 않는다는 생각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최근 몇 년간 캠퍼스를 휩쓴 학습 차질, 유대인 학생들에 대한 괴롭힘은 용납할 수 없다며 명문대학들이 납세자의 지원을 계속 받으려면 이 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의미 있는 변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버드대는 지난해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는 학생들을 주축으로 한 가자지구 전쟁 반대 시위 이후 백악관의 주요 공격 대상이 됐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 2월 반유대주의 근절을 위한 합동 태스크포스를 구성하고, 하버드대와 컬럼비아대 등 '반유대주의 사건'이 발생한 10개 대학 캠퍼스를 방문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달엔 미국 대학 내 반유대주의 퇴치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하버드대에 최대 90억달러 규모의 연방 기금 지급 및 계약 여부를 재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 하버드대에 '지속적인 재정 관계를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9가지 조치 실행'을 요구했다.
여기에는 다양성·평등·포용(DEI) 프로그램 폐지, 입학 규정 변경, 이념적 견해를 이유로 특정 학생, 교수진 '세력' 채용 및 억제 등이 포함됐다.
하버드대는 앞서 반유대주의를 막기 위해 시위 주도 학생 징계, 일부 교수진 해임 등 조치를 실행했지만, 트럼프 정부의 새 요구는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앨런 가버 하버드대 총장은 교내 커뮤니티에 게시한 글에서 트럼프 정부가 연방 기금 지원을 유지하는 대가로 기존 요구 조건을 넘어서는 조건부 학칙 연장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가버 총장은 "이는 반유대주의를 협력적이고 건설적인 방식으로 해결하기 위해 우리와 협력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보여준다"며 "정부가 제시한 요구 사항 중 일부는 반유대주의 근절을 목표로 하지만 대부분은 하버드의 '지적 환경'에 대한 직접적인 정부 규제를 의미한다"고 반발했다.
하버드대 변호인단은 이날 교육부 등 미국 정부기관에 보낸 서한에서 "하버드대 다른 어떤 사립대도 연방 정부에 인수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noma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연숙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