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출마로 민주당 4파전…'당원 영향력↑' 경선룰로 ‘어대명’ 되나

김 전 지사는 “대선 이후 400일간의 사회적 공론화와 숙의를 거쳐 다음 (내년) 지방선거에서 개헌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윤석열 보유정당의 이름표를 달고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세력과 동거하며 어떻게 개헌을 얘기할 수 있겠는가”라며 “개헌은 헌정 수호 세력의 단단한 연대와 연합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전 지사의 출마 선언으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은 이재명 전 대표, 김동연 경기지사, 김두관 전 의원, 김 전 지사 4파전이 됐다. 전재수 민주당 의원은 이날 “정권 교체와 국민 통합을 향한 시민의 열망을 하나로 모아내는 데 제 역할을 다하겠다”며 불출마를 선언했다. 앞서 김부겸 전 국무총리와 박용진 전 의원도 불출마 뜻을 밝혔다.

민주당은 18~20대 대선 경선 땐 완전국민경선제를 택했다. 당원과 일반 유권자 상관 없이 경선 선거인단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로, 당원의 1표가 선거인단에 참여한 일반 유권자 1표와 같은 가치를 갖는다. 당원 중심주의를 훼손한다는 비판도 있지만, 국민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고 경선 흥행도 노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선택된 제도다.
그러나 이재명 전 대표는 완전국민경선 때문에 일격을 당한 경험이 있다. 2021년 9월 12일과 10월 3일 치러진 20대 대선 민주당 1·2차 경선에선 이 전 대표는 과반을 얻으며 30%대 초반 득표를 한 이낙연 당시 후보를 넉넉히 앞섰다. 그런데 10월 10일 3차 경선에선 이낙연 후보(62.37%)의 절반도 못 비치는 득표율(28.30%)를 기록했다. 당시 이 전 대표 측은 “특정 종교 집단이 완전국민경선에 개입한 것”이라며 역선택을 주장했다.
이런 전례와 이재명 전 대표가 당원들의 강한 지지를 받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당이 이 전 대표에게 유리하게 경선 룰을 바꾼 것이라고 비명계 후보들은 반발했다. 김동연 지사는 13일 서울 여의도 캠프 사무실에서 “들러리 경선, 의미없는 경선으로 가는 것 같아 대단히 유감”이라고 밝혔다. 김경수 전 지사는 출마 선언 직후 “(당비는 최근 납부하지 않은 경우 등) 좀 더 많은 민주당 당원들이 경선에 참여할 수 있도록 고려해달라는 의견을 당에 전달했었다”고 말했다. 김두관 전 의원도 전날 “일방적인 결정”이라며 반발했다.

비명계 반발에도 경선 룰은 14일 당 최고위원회 의결 등을 통해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경선 일정도 확정하는데, 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경선 후보자 등록은 오는 15일, 선거인단 모집은 15~20일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윤성민.김정재.김은지([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